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인공지능 강화학습을 적용한 신호최적화 기술로 교통량이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빠르게 교통신호를 바꿔주는 ‘도시교통 브레인(UNIQ)’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UNIQ는 대도시의 교통 최적화를 위해, 클라우드-에지 기반의 실시간 교통상황 분석 및 대규모 교통 시뮬레이션 분산처리를 통해 교통제어 지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에지를 통해 얻은 교통 데이터를 이용해 교통량, 대기열, 속도, 흐름 등의 교통 상황을 인지하고, 클라우드와 AI 기반한 신호를 최적화, 시뮬레이션, 강화학습을 통해 복합적인 교통 분석을 하며 이를 다시 에지에 활용하며 이 과정을 순환하는 식으로 작동한다.
이 기술에 적용된 핵심기술은 ▲AI 기술을 활용한 교통신호 최적화 기술 ▲클라우드 기반 대규모 교통 시뮬레이션 기술 ▲에지-클라우드 협업 교통상황분석 기술 등이다.
ETRI는 대전시와 세종시, 티맵(T-map)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도로 지도와 1500여 개 이상의 교차로 신호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신호 최적화를 위해 800여 개의 카메라로부터 수집한 영상정보를 딥러닝 기술로 분석했으며, 자체 개발한 교통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 데이터 생성 기술로 에러율 10% 미만의 교통량을 추정했다.
또한 신호등에 간단한 신호제어장치를 탑재하고 교통 분석 수집기, 영상정보 등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에지에서 처리하여 스마트도시통합센터와 연동되어 온라인 시스템으로 신호를 제어한다.
정문영 ETRI 스마트데이터연구실 책임연구원은 “향후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행정관청의 이전이나 신건물의 입점 시 등 외부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교통량 변화, 환경영향평가 등 추가연구를 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시스코-부산교통공사, 네트워크 고도화 파트너십 체결
- 이스트소프트 AI 휴먼, 교통센터 홍보 도우미로 발탁
- 클라우드 필요없는 생성AI 기반 실시간 감지 솔루션
- 말하면 알아서 척척 ‘절차 생성 AI’, LLM이 성능 보장
- ETRI-KAIST, 양자기술 분야 인재 양성 맞손
- 자동차 IoT, 급격한 변화 속 빠른 성장
- 자율주행 레벨 3기능 갖춘 ‘고화질 도로 데이터 맵’
- AI로 지도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방법 바꿔 나가는 '구글맵'
- 자율주행 자동차가 보행자와 커뮤니케이션 하는 법
- AI로 구현하는 메타데이터·미디어 서비스
- LED 평면에서 구현하는 '촉각 디스플레이'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강릉시, 실시간 교통 신호정보 제공 시범도시 최종 선정
- 지능화부터 정보화시대까지, 48년 ETRI 역사 한 눈에
- ETRI, 감성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모습 예측
- ‘딥러닝 알고리듬’ 화장품 피부 발림성 분석 정확도 99%
- 현대차, AI 기반 편리한 공공 교통 이용 앱 ‘이응’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