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방승찬, 이하 'ETRI')은 광열 탄성가변 필름 기반의 입체화 촉감을 생성하는 ‘촉각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기술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빛의 세기를 조절해 매끄러운 필름 표면에서 수 밀리미터(mm) 크기를 가지는 소자의 높낮이와 탄성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ETRI가 개발한 촉각 디스플레이는 점자와 문자는 물론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직접 표현할 수 있다. 특히 부분별로 탄성과 온도를 정교하게 제어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높이와 질감을 재현할 수 있다.

머리카락 두께를 가지는 얇은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기능성 고분자 필름 구조로, LED에 마주하고 있는 하부 광열층은 빛을 흡수해 열을 발생시킨다. 상부 가변탄성층은 상온에서는 단단하지만, 광열층의 열이 전달되면 유리-고무 전이를 일으켜 섭씨 약 50℃ 이상에서는 매우 부드럽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필름 아래쪽에 공기압을 가하면 빛으로 가열된 정도에 따라 필름이 부풀어 올라 사람이 만질 수 있는 입체 형상이 만들어진다.
직경 4mm의 소자에서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체 형상의 최대 높이는 일반 점자 디스플레이의 약 2배인 1.4mm로 LED에서 조사하는 빛의 세기에 따라 0.1mm 단위로 정밀하게 제어도 가능하다.
특히, 빛 조사를 멈추면 상부층 온도가 낮아지며 필름이 다시 단단해지는 원리로 전력 소모 없이도 사용자가 만지며 누르는 힘을 견디도록 고정할 수 있다.
연구진은 사용자가 직접 만질 수 있는 입체적인 형상과 다양한 질감을 물리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향후 시각장애인용 정보전달 기기나 차량 인터페이스, 메타버스, 교육용 스마트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한편, 이 기술의 연구 결과는 지난달 2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되었으며 ‘주목할 만한 논문(Featured article)’으로 선정되었다.
황인욱 논문의 1저자 및 책임연구원은 “기존 점자형 촉각 디스플레이는 높이 조절이 불가능해 점자나 단순한 도형만 표현할 수 있었지만, 이번 개발한 기술은 각 셀의 높낮이와 탄성을 자유자재로 제어해 실제와 흡사한 입체적 지형과 질감까지 구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AI로 구현하는 메타데이터·미디어 서비스
- ETRI, 전방위 촉각 센서 탑재된 로봇 손가락 개발
- 교통혼잡 해결하는 ‘도시교통 브레인’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말하면 알아서 척척 ‘절차 생성 AI’, LLM이 성능 보장
- [MWC 2024] ETRI, 5G 및 실시간 영상 최신 기술 공개
- ETRI-KAIST, 양자기술 분야 인재 양성 맞손
- 범죄자를 정확히 가려내는 생체 측정 솔루션
- ETRI,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국제표준 제정
- ETRI, 5G/6G 데이터 폭증 해결할 광원 소자 개발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지능화부터 정보화시대까지, 48년 ETRI 역사 한 눈에
- 하이크비전, 5세대 LED 캐비닛 출시...다양한 현장의 몰입감 제공
- 공공 디스플레이 시장, 아시아·오세아니아 증가세
- '열화상 음향 이미지 카메라', 산업 현장 검사 및 작업 효율 향상
- ETRI, 충남TP에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 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