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은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센터에서 14일부터 4일간 열리는 국제 방송 장비 전시회(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 2024, 이하 'NAB 2024')에서 연구진이 개발한 방송·미디어 관련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되는 기술은 ▲메타데이터 자동 생성 및 영상 검색 기술 ▲샷 예측 및 가상 샷 생성 기술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북미식 디지털 지상파/케이블 텔레비전 방송 표준) 3.0 재난정보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ATSC 3.0 기반 촉각지원형 입체미디어 서비스 기술이다.

ETRI가 이번에 공개할 메타데이터 자동 생성 및 영상 검색 기술은 미디어사업자 등이 보유한 영상을 분석한다. 자동으로 메타데이터를 만들 수 있으며, 멀티모달 영상 검색도 가능하다.
또한, 샷 예측 및 가상 샷 생성 기술은 다중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가편집본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새로운 구도의 가상 샷을 만드는 기술이다. 다양한 구도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주며 전문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의 플러그인 앱 형태로 개발했다.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ATSC 3.0 재난정보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기술은 재난정보 접근이 제한된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청각장애인용 아바타 수어 영상, 시각장애인용 해설 오디오, 외국인을 위한 맞춤형 이미지 등의 미디어를 제공한다.
이 기술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재난정보미디어를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는 ATSC 3.0 기반 셋톱박스와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들을 연동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ATSC 3.0 기반 촉각지원형 입체미디어 서비스 기술은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 시청자에게 입체영상 및 촉감을 전달하는 몰입형 실감콘텐츠 서비스 기술이다.
이태진 ETRI 미디어연구본부장은 "이번 NAB 2024를 통해 ETRI 미디어 지능화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국내 미디어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지식 자산화 솔루션과 sLLM의 결합 ‘M-LLM’
- 고출력 GaN 소자 국산화 성공...K-방산, 6G·위성 산업 자립화 기대
- ETRI, 전방위 촉각 센서 탑재된 로봇 손가락 개발
- 기업의 생성AI 활용 극대화하는 LLM 제품군
- 보안 우려 없는 노코드 생성AI 어플라이언스
- 교통혼잡 해결하는 ‘도시교통 브레인’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사 발표
- 말하면 알아서 척척 ‘절차 생성 AI’, LLM이 성능 보장
- ETRI-KAIST, 양자기술 분야 인재 양성 맞손
- ETRI,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국제표준 제정
- ETRI, 5G/6G 데이터 폭증 해결할 광원 소자 개발
- AI∙IoT 디지털 기술 활용 증가 ‘증강지능’ 시장 강화
- LED 평면에서 구현하는 '촉각 디스플레이'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지능화부터 정보화시대까지, 48년 ETRI 역사 한 눈에
- 모두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관 ‘TMCA 컴플렉스’
- 카테노이드, 모바일 AI 배속 서비스 '콜러스' 출시
- ETRI 박성익 박사, 미국 ATSC 리처 메달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