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휴먼증강연구실이 기획하고 국내 전문가들과의 공동집필을 통해 탄생한 ‘감성 인공지능 : 인간 이해와 감성 증강’ 전문도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본 도서는 크게 4부로 나뉘며, 먼저 제1부 개관에서는 감성 인공지능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담았다.
감성 인공지능 연구의 성장과 진화 현황을 분석하고 감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서적 웰빙, 감성 인공지능 활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과 해결 방안, 공감 기반 감성 인공지능의 사회적 영향 등을 살펴본다.

제2부 ‘기술’은 인간의 감성을 인식하고 생성·표현 등 인간과 인공지능 간 감성의 상호작용 중심의 기술 내용으로 구성됐다. 감성 모델 및 사회 감성을 정량화하는 기술, 뇌파 기반 감정 인식 기술, 감성 로봇 개발을 위한 핵심 주요 기술 등을 다뤘다.
제3부 ‘서비스’는 감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구체적인 서비스 활용 사례 내용으로 구성됐다. 국내·외 감성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사례, 디지털 헬스케어·에듀테크 등 주요 감성 인공지능 응용 분야를 소개하고, 모바일 감성 인공지능의 구성요소와 데이터 수집 및 알고리듬 개발 사례 등을 다뤘다.
제4부 산업에서는 감성 인공지능 산업에 대한 경쟁력, 제도 및 산업 활성화 방안 등 내용을 담았다. 감성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에서 활용 동향, 국내 감성 인공지능 산업경쟁력 진단과 전략적 대응 방안 및 정부 측면의 감성 인공지능 규제와 산업육성 방향 등을 살펴본다.
정현태 ETRI 휴먼증강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인간의 감정과 행동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감성 인공지능 시대에 변화될 미래 모습을 선제적으로 예측해 보았다. 기술, 서비스, 산업 등에 대한 전문가의 시각에서 미래 전략 방향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방승찬 ETRI 원장은 “인간과 인공지능 간 감성 기반 상호작용이 한층 높아짐에 따라 초기 시장 단계의 감성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개발, 유용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부정적 영향의 역기능 등을 종합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어 우리 정부와 기업의 미래 대응 전략 수립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지능화부터 정보화시대까지, 48년 ETRI 역사 한 눈에
- 통신 절차 줄이고 속도도 빠른 ‘6G 코어네트워크’
- 지식 자산화 솔루션과 sLLM의 결합 ‘M-LLM’
- ETRI, 전방위 촉각 센서 탑재된 로봇 손가락 개발
- 나노팹 온라인 원스톱 서비스 ‘모아팹’
- 기업의 생성AI 활용 극대화하는 LLM 제품군
- 보안 우려 없는 노코드 생성AI 어플라이언스
- 교통혼잡 해결하는 ‘도시교통 브레인’
-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사 발표
- 말하면 알아서 척척 ‘절차 생성 AI’, LLM이 성능 보장
- 우리 軍 '우주·사이버보안' 무기체계 개발 강화
- ETRI-KAIST, 양자기술 분야 인재 양성 맞손
- 범죄자를 정확히 가려내는 생체 측정 솔루션
- ETRI,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국제표준 제정
- 플립정글랩, 교육용 AI 영상 통화 기능 특허 출원
- ‘딥러닝 알고리듬’ 화장품 피부 발림성 분석 정확도 99%
- 세계에서 인정받은 ETRI ‘AI 정책지능’
- 초파리의 행동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AI...인간 행동 예측도 가능?
- AI 기술로 되살아나는 문화유산
- “신경기술·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앱 개발” 혁신하는 “저전력 헤드밴드” 뇌파 솔루션
- ETRI, 탄소중립 R&D·투명한 지배구조 가이드 'ESG 보고서' 발간
- ETRI, 충남TP에 디스플레이 공정 기술 전수
- ETRI, ‘폐질환 스크리닝 장치’ 개발...혼자서도 폐질환 검사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