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토에버가 글로벌 시험 및 인증 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자동차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의 국제표준인 ISO/SAE 21434에 기반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
CSMS(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는 차량의 설계부터 양산, 단종에 이르기까지 전체 라이프 사이클 동안 위험 요소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로, 차량 제조사 및 부품 공급업체가 사이버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객관적인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음을 증명하는 인증이다.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2021년 차량 사이버보안 규정 ‘UNECE R-155’를 시행했으며, 이에 따라 2024년 7월부터는 CSMS 인증을 받은 차량만이 유럽경제위원회 협약에 가입한 56개국에서 판매될 수 있다.

이번에 획득한 CSMS 인증은 총 11개 영역에 걸쳐 이뤄졌으며, 소프트웨어 전문 회사 기준으로 전 영역에 해당하는 범위다. 앞서 현대오토에버는 2022년 5월에 CSMS 레벨2를 4개 영역에 대해서 획득한 바 있다. 또한 성숙도가 레벨2에서 레벨3로 업그레이드됐는데, 이는 실제 업무에 잘 적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현대오토에버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갖추고 실체 차량 SW 개발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현대오토에버는 앞서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 표준(ISO26262)의 최고 등급인 ASIL-D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인증을 획득했으며, 차량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 표준인 ASPICE CL1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관련기사
- 현대오토에버, 삼성전자 출신 ERP 전문가 김선우 ERP 센터장 영입
- 570억 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와 AI 통합해 ‘실시간 차량 비교’
- 차량용 통합 소프트웨어 관리 ‘모션와이즈 스케줄’로 단순하게
- NXP, 차량용 초집적 통합 프로세서 ‘S32N55’ 출시
- [기고] 소프트웨어 사용량 데이터 간소화로 고객을 유지하는 방법
- 프로세스 자동화∙AI 품은 ‘임베디드 컴퓨팅’, 흔들림 없는 성장세
- 현대오토에버, 자동차 부품 협력사 공장 보안 강화
- 차량 생성 속도 ‘2배 빠르고’ 비용은 ‘4배 저렴한’ SDV 키트
- 안전한 SVD 위한 BMS 검증 솔루션 인기
- 자동차 OEM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SDV에 투자하는 이유
- 현대오토에버, 핵심 리더 대거 영입...사업·기술 연계 전략 수립 및 DX 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