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고한 보안 체계를 갖춘 자동차 업체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품 협력사를 공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협력사는 자동차 그룹 내의 조직보다 상대적으로 외부의 직접 공격, 악성코드 유입, 솔루션 우회 등 외부의 보안 위협에 노출되기 쉽다.
또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도 협력사가 랜섬웨어 등 보안 위협을 받거나 이로 인해 데이터 탈취, 생산 중단 사태를 겪는 등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부품 공급 업체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시스템 장애를 겪었고, 이로 인해 완성차 업체의 공장의 가동이 전면 중단된 사례가 있다.
이에 현대오토에버가 자동차 부품 협력사의 공장 보안을 강화하는 ‘스마트 상생’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스마트 상생은 공급망을 구성하고 있는 기업의 시스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을 외부의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보호해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력사 공장 보안 강화는 차량 부품 협력사 153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현대오토에버는 취약점 진단에 착수했으며, 하반기에는 취약점 조치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이행 진단으로 취약점에 대한 조치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현대오토에버는 관계자는 “사이버 보안 강화의 대상을 당사의 협력사에서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까지 넓혀 자동차 산업을 안전하게 보호하겠다.”라며 “지속적인 대상 확대로 공급망 전체의 보안 수준을 높여 자동차 생산 중단 등 심각한 피해를 예방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HD현대마린솔루션, 선박 사이버 보안 솔루션 사업 박차
- 서울대학교-현대엔지비, AI·SW 고급 인재 육성 협력
- [CES 2024] HD현대, 인류 문제 해결하는 미래 건설현장 ‘사이트 트랜스포메이션’ 구현
- HD현대-구글 클라우드, 생성AI 기반 조선·건설·CX 디지털 혁신 가속
- HD현대오일뱅크, 클라우드 전환으로 IT 비용 절감 추진
- 현대오토에버, '모의해킹 보안 진단 서비스' 출시
- 앤시스코리아, 비전과 신기술, 최신 사례를 한 눈에
- 차량 생성 속도 ‘2배 빠르고’ 비용은 ‘4배 저렴한’ SDV 키트
- 자율주행차∙정부의 투자 증가로 컴퓨터 비전 AI 시장 ‘성장가도’
- 배터리 재료 50% 공급 목표 삼은 배터리 재활용 공장
- 자동차 IoT, 급격한 변화 속 빠른 성장
- HD현대-팀네이버, 클라우드·AI로 DX 혁신 맞손
- 자동차 속 개인정보 보호∙ID 도용 복구 솔루션
- 자동차의 성능과 속도를 올리는 반도체 칩들
- 570억 개 이상의 데이터 포인트와 AI 통합해 ‘실시간 차량 비교’
- 현대오토에버, 삼성전자 출신 ERP 전문가 김선우 ERP 센터장 영입
- 현대오토에버, 자동차 사이버보안 국제표준 ‘레벨3’ 획득
- 현대오토에버, 핵심 리더 대거 영입...사업·기술 연계 전략 수립 및 DX 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