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데이터 및 검증 솔루션 전문기업 테스트웍스(대표 윤석원)는 5월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I EXPO KOREA 2024’에서 메타버스 내 생성형 콘텐츠 제공 기술을 고도화하는 3D 시멘틱 세그멘테이션(3D Semantic Segmentation) 데이터 셋 구축 사례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3D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이란 3D 이미지의 모든 픽셀을 미리 정의된 개념(예: 사람, 자동차, 건물 등)로 분류하여 이미지 내의 객체와 배경을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에 공개된 기술은 ETRI의 사용자 주도 초실감 볼류매트릭 에셋 생성 및 거래 기술 개발 과제에 적용됐다. ETRI는 여러 대의 카메라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물이나 사람을 3차원으로 촬영하고 저장하는 초실감 볼류매트릭 에셋을 2D 비디오에서 추출하는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기술은 복잡한 객체와 인물을 비디오로부터 분리해 볼류메트릭 비디오 에셋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테스트웍스는 3D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에셋 생성을 위해 메타버스 내 아바타 마네킹에 착용될 다양한 소품들에 대한 세그멘테이션 작업 및 시각화 툴 개발을 진행했다. 테스트웍스가 개발한 3D 데이터 시각화 툴은 웹 뷰어를 실행하여 점군 데이터를 로드했을 때 세그멘테이션된 에셋을 360°로 회전하며 관찰이 가능하다. 3D 시멘틱 세그멘테이션 및 폴리건(Polygon) 기반 점군 태깅의 작업물 확인이 가능하다.
테스트웍스가 개발한 3D 데이터 시각화 툴은 웹 뷰어를 실행하여 점군 데이터를 로드 했을 때 세그멘테이션된 에셋을 360°로 회전하며 관찰이 가능하며, 3D 시멘틱 세그멘테이션 및 폴리곤 기반 점군 태깅의 작업물을 확인할 수 있게 구현됐다.
또한 세그멘테이션한 에셋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포인트 클라우드 셋으로 구축된 최종 산출물은 고객의 품질 요구사항에 맞추어 데이터 품질 검증으로 품질을 높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확보한 데이터 셋을 활용하여, 향후 생성하는 에셋을 멀티 메타버스 간 전이하며, 동기화된 희소성 및 진정성을 제공하는 거래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테스트웍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ETRI에 납품한 볼류메트릭 에셋의 세그멘테이션 작업 산출물 및 시각화 툴을 데모를 통해 공개한다.
테스트웍스 윤석원 대표는 ‘테스트웍스는 포인트 클라우드, 라이다(LiDAR), 센서 퓨전 등 신기술 연구 개발에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라이다 가공 자동화의 경우 기존 연구들이 해외 도로 환경에 편향되어 한국의 도로 상황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었다며, 한국지형에 적합한 3D LiDAR 세그멘테이션 모델 연구에 집중하여 가공 정확도 및 자동화 성능에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MWC 2024] 레노버, 노트북 신제품 및 투명 디스플레이 콘셉트 공개
- 차세대 인터넷 플랫폼 ‘컴포저블 아키텍처’
-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프로젝트 그룹' 메타버스 활성 재점화
- 새로운 패러다임 ‘AI∙웹 3.0∙메타버스’의 통합
- 메타버스, ‘NFT 수요∙재택근무’ 증가로 연평균 40% 급성장
- ‘콘텐츠 리터러시’ 콘텐츠 경제 시대의 핵심
- [MWC 2024] ETRI, 5G 및 실시간 영상 최신 기술 공개
- [MWC 2024] 맥스트, AR/XR 기반 공간 컴퓨팅 혁신 공개
- [CES 2024] 지멘스, 산업용 메타버스 구현
- 모두를 위한 메타버스 미술관 ‘TMCA 컴플렉스’
- 라온시큐어-그리다텍, 메타버스 기반 동작인식 기술 적용 실습 콘텐츠 협력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산업 활성화 시동
- 테스트웍스, ‘AI 신뢰도 및 비즈니스 성장 강화’ 임원 영입
- 라온메타, ‘XR 기반 동물 부검 실습’ 미국 특허 획득
- 테스트웍스, 초거대 AI 확산 ‘트립체인 데이터’ 구축 사업 착수
- 테스트웍스, 초거대 AI 기반 ‘사고위험 환경에서의 운전습관 데이터’ 구축 사업 진행
- AI와 SW 안전 인증제도 'AISC'가 필요한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