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보안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글로벌 클라우드 보안 거대 신생 기업(유니콘 기업)의 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유니콘 기업 중 사이버보안 분야는 2019년 13개에서 2023년 58개로 증가해 세 번째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은 45개, 이스라엘이 7개, 캐나다가 3개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국내 보안산업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는 국내 사이버보안 유니콘 기업 육성이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상중)과 아마존웹서비스 코리아(Amazon Web Services Korea, 대표 함기호, 이하 AWS)는 AI 기술을 활용해 제품·서비스를 개발하는 국내 보안기업(이하 ‘AI 보안기업’)의 클라우드 역량 강화 및 해외 진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최근 클라우드 보안기업으로 세대교체 중인 사이버보안 시장의 흐름을 고려해 글로벌 클라우드 선도 기업인 AWS와 사이버보안 거대 신생 기업(유니콘 기업)을 공동 육성한다.
이를 위해 ▲AI 보안 유망기업 발굴 및 공동 육성 ▲전문인력을 통한 클라우드 기술·사업화 역량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사업협력 및 판로 확보방안 모색 등 AI 보안기업의 클라우드 역량강화 및 글로벌 시장진출 활성화에 협력한다.
특히, 양 기관은 올해 신설된 ‘S-유니콘 기업 육성 프로그램’의 지원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술 및 사업화 컨설팅, 마켓플레이스 등록 지원, 전시회 참여 등 양질의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기획해 협력할 예정이다.
‘S-유니콘 기업 육성 프로그램’의 참가기업 모집 관련 상세정보는 5월 중 KISA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AI 기술력을 보유한 총 3개 기업을 선발해 약 7개월간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KISA 이상중 원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국내 AI 보안기업의 해외 시장 안착을 위한 초석을 다지길 기대한다.”라며, “KISA는 앞으로도 디지털 신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과 협력을 통해 국내 제1호 사이버보안 거대 신생 기업(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도록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KISA, 디지털 위협 맞서는 ‘국민피해대응단’ 신설
- KISA, 단계별 가명정보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 KISA, ‘안전보건협의체’ 정기회의 진행
- KISA, 해킹 사고 원클릭으로 확인하는 ‘해킹진단도구’ 배포
- KISA, 영세·중소기업 대상 암호모듈검증 컨설팅 무료 지원
- KISA-과기정통부, ‘2024 모의 ICT 분쟁조정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 KISA, 한국안전인증원 ‘공간안전인증’ 획득
- 기업 사이버 공격 및 스미싱 53만 건, 2년동안 ‘2.5배 증가’
- KISA-인천경찰청, 개인정보 불법유통 근절 협력
- KISA-라오스 국가인터넷센터, 디지털 확산·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업무협약 체결
- 자비스앤빌런즈-S2W, 보안 강화·AI 신사업 발굴 협력
- 엔비디아-AWS, '생성AI' 기반 헬스케어 워크플로우 가속 맞손
- 안전한 생성AI 애플리케이션 구축 기반 ‘아마존 베드록’
- AWS 기반 SLM ‘솔라 미니’, 생성AI 앱 구축·확장 지원
- 최대 60% 빠르게 AWS 컨트롤 타워 도입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사 발표
- KISA-KISTA, 사이버보안 분야 특허확보 및 표준화 전략 공동 지원
-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사 발표
- KISA, '정보보호 인증제품' 조달청 등록 기업 모집
- 아프리카에서 주목받는 'K-사이버보안'
- AWS, ‘생성AI 액셀러레이터’에 2억 3천만 달러 투자
- AWS, 5천만 달러 규모 공공부문 생성AI 이니셔티브 발표
- 이글루코퍼레이션-리벨리온, AI 동맹으로 "AI 보안 제품·서비스 사업 확대"
- KISA, 중소·영세 사업자 개인정보 처리방침 컨설팅 지원
- KISA, 국내 보안 기업 중동지역 수출 지원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