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술패권 시대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높이려면 높은 수준의 연구성과가 필요하며, 세계적인 연구기관・연구진과의 긴밀한 협력은 중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원장 홍진배, 이하 IITP)은 미국과 대한민국 AI 연구진이 AI 공동연구를 긴밀 수행하는 글로벌 AI 선도연구실(Global AI Frontier Lab)을 미국 뉴욕대(총장 린다 밀스, 이하 NYU)에 구축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글로벌 AI 선도연구실을 AI 분야에서 명성이 높은 미국 NYU에 구축한다. 또한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국내 연구진들이 해외파견 형식으로 현지 상주 및 수행토록 지원할 방침이다.

국내외 기관(IITP-NYU 공동기획위원회 구성・운영)・전문가가 함께 연구과제를 공동 기획하고 향후 해외 현지에 공동연구실을 신설해 양국 연구자 간 협력 네트워크 및 AI 공동연구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 연구소에는 얀 르쿤(Yann LeCun) 메타 수석 AI 과학자 부사장, 조경현 교수가 글로벌 AI 선도연구실의 공동 소장(Co-leader)을 맡을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글로벌 AI선도연구실은 새로운 국제공동연구 패러다임의 첫 발이자 대한민국의 AI G3 도약과 글로벌 연대・확장을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라며, “최고의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와 미국의 AI 연구진이 함께 AI 혁신과 지속가능한 AI 발전 등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