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장관 이종호)와 AI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위원장 서정연 )는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연수센터에서 ‘AI‧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 운영위원회’를 17일 개최하였다.

22년부터 디지털인재 양성 지원을 위한 민‧관 협업과 소통 역할을 해오던 ‘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는 지난 4월에 출범한 ‘AI전략최고위협의회’의 인재분과를 담당하게 됨에 따라 ‘AI‧디지털인재 얼라이언스 운영위원회’(이하 ‘얼라이언스’)로 개편하고 AI‧디지털 인재양성 정책 전반에 대한 산‧학‧연 운영위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게끔 운영할 계획이다.

운영위원회에서는 최근 세계 각국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발생하고 생성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AI 핵심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향후 대응방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국내 AI인재 이동 관련 동향과 시사점’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조원영 소프트 웨어정책연구소 실장은 최근 발표된 OECD와 스탠포드대 연구소등에서 발표된 글로벌 AI 인재 이동 관련 지표들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시사점 등을 언급했다.

이 자리에서는 국내 AI 핵심인재 양성과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과 추진 전략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AI 분야의 박사후연구원 및 신진연구원 등의 지원 방안, 국내 AI인재의 저변 확충 방안, 글로벌 공동연구 및 해외 석학유치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황규철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제 AI인재확보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국가 간 경쟁으로 격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하여 혁신을 꿈꾸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AI 연구자 중심의 지원을 강화하고 산‧학 협력, 학제 간 융합이 촉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얼라이언스 서정연 위원장은 “AI 기술이 급변하면서 국내 AI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만큼 고성능 컴퓨팅 자원 구축 등 세계적 수준의 지원이 중요하다.”면서 “AI 인재들이 국내‧외에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민‧관 협의체인 얼라이언스의 적극적인 활동과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