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 휴먼 기술 개발사 클레온(Klleon, CEO 진)과 비가시성 워터마크 전문 기업 스냅태그(대표 민경웅)가 협력해 ‘디지털 휴먼 부정사용 방지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클레온은 대화형 디지털 휴먼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공급하며, 삼성전자, LG전자, 파나소닉 등 100여 개의 대기업 및 중견기업에 관련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납품하고 있다.

이번 협업을 통해 클레온과 스냅태그는 딥페이크 등 AI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디지털 휴먼 부정사용 방지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솔루션은 실시간으로 이용자의 PC 또는 앱 내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휴먼에, 눈에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가 서버 없이 이용자 기기에서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유명인의 IP가 생성 AI로 인해 부정 사용되는 사례를 예방하고, 진위여부를 비롯해 콘텐츠 생성자의 세부 정보를 판별할 수 있으며, 오·남용시 법적 근거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없이 이용자 기기 내에서 동작해 도입에 부담이 없으며, 두 서비스를 하나의 SDK 형태로 제공해 고객의 편의성을 높였다.
민경웅 스냅태그 대표는 "이번 협업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성 AI 8대 핵심 과제' 중 AI기술의 안정성 및 신뢰·윤리 확보,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 뉴스 대응에 대한 모범 선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배성철 기자
epsilondelta@gttkorea.com
관련기사
- 트렌드마이크로, ‘딥페이크·AI 기반 사이버 공격 차단 기술’ 발표
- AI와 개인화 콘텐츠 급증 ‘딥페이크 AI’ 시장 파죽지세
- AI로 딥페이크 생성하는 은행 악성코드 주의!
- 과기정통부, ‘제1회 디지털 심화쟁점 콜로키움’ 개최
- 악의적 조작 콘텐츠와 딥페이크 대항법
- 라온시큐어 '동형암호 기반 AI 안면인식 기술' 과기정통부 'AI 보안 시제품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
- 과기정통부, 'AI 안전‧신뢰‧윤리 확보 방안' 쟁점투표와 정책아이디어 공모전 진행
- 딥페이크·피싱 등 'AI 남용' 막는 보안 전략
- 국가사이버안보센터, 주간 해외 사이버 보안 동향 발표
- 신원 사기 주범, 사진 ID·가짜 이미지·셀카 스푸핑
- SBA-스토리위즈, ‘웹소설·웹툰 콘텐츠 발굴’로 IP 콘텐츠 산업 활성화
- AI, 기업 콘텐츠 전략 강화 핵심
- 스냅태그, 태평양에 IP 관리 업무 위임 계약 체결
- 급증하는 딥페이크 성범죄, 사진·영상 자동 모자이크 서비스 ‘블러미’로 예방
- 전 세계 ‘딥페이크 스캠’ 기승...단일 그룹 소행 가능성 高
- 서버 없이 워터마크 검출 가능한 비가시성 워터마크 솔루션 ‘랩가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