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안면정보가 주요 생체정보로 인식되며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보안의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는 자체 개발 중인 ‘동형암호 기반의 AI 안면인식 기술’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공고한 ‘2024년 AI 보안 시제품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라온시큐어는 서울대학교 천정희 교수 팀과 크립토랩과 동형암호 기반의 생체정보 보호 기술을 2023년부터 공동으로 연구했다. 라온시큐어와 크립토랩은 2023년 12월 양자내성암호(PQC)와 동형암호(HE) 기술 상용화 협약을 체결하고 암호 기술 개발을 목표로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등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양사는 이번 사업으로 동형암호 기술을 활용한 개인의 안면정보 보호 체계 마련 등 생체인증 시장에 동형암호 기반의 새로운 보안 기준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 선정되어 라온시큐어 AI 연구개발팀은 딥페이크를 탐지하는 이미지 분류 모델부터,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탐지하는 모델, 악성 코드, 스미싱·피싱 등을 탐지하는 악성·위협 행위 분류 모델, 도메인 특화 LLM 및 엔터프라이즈 LLM 등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AI 연구개발팀은 KISA 2024년 AI 보안 시제품 개발 지원사업으로 선정된 동형암호 기반 AI 안면인식 기술 개발 과제와, 기존 소비자용 모바일 보안 애플리케이션에 자체 개발한 ‘딥페이크 감지 안면인식 기술'과 'AI가 생성한 콘텐츠 탐지 기술'을 탑재해 2024년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생성AI가 보안과 신원인증 분야에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그 동안 AI 연구개발팀을 구성해 관련 기술을 연구 개발해 왔고 단계적인 성과를 만들어 가고 있다.”라며, “생성AI와 동형암호 기술을 적용한 안면인식 보안 기술을 통해 생체인증을 통한 신원인증 방식의 안전성을 한층 더 고도화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AI로 더 강력해진 사회공학 공격, 효과적인 보안 전략
- 5개 이상의 ID 요소로 ‘철저하게 신원 확인’
- 라온시큐어-그리다텍, 메타버스 기반 동작인식 기술 적용 실습 콘텐츠 협력
- 암호화된 상태에서 데이터 분석, 동형암호 시장 ‘잠재된 성장 가능성’
- 딥페이크·피싱 등 'AI 남용' 막는 보안 전략
- 신원 사기 주범, 사진 ID·가짜 이미지·셀카 스푸핑
- 라온시큐어, '원가드' 아이폰용 CC 인증 획득
- 라온시큐어 ‘옴니원 디지털아이디’ 기반의 ISIC 국제학생증 오픈
- 2초 안에 ‘딥페이크·신원사기’ 잡는 AI 기반 문서 검증 솔루션
- ‘동형암호’로 보호하는 개인 유전자 정보
- 정교해지는 사이버 위협 ‘AI 기반 공격이 최대 위험’
- 딥페이크 걱정없는 ‘비가시성 워터마크’
- 감쪽같은 AI 생성 이미지, 높아지는 딥페이크 위협
- 최근 부상하는 사이버 공격 “AI 무기·딥페이크·국가 겨냥”
- 대학교 합격증, 블록체인으로 편리하게
- 딥페이크를 막는 진위 증명 솔루션
- 지능화되는 AI 기반 위협, “개인정보 보호·윤리성 유지·위협 대처법”
- 통합인증으로 연말정산 간편하게!
- [2024년 전망] 내년에 경계할 사이버 보안 5대 위협
- KISA, ‘암호모듈검증’ 무료 전문 교육과정 실시
- 마음AI, LLM 기반 ‘업무 및 예약 시스템 자동화 AI 챗봇 솔루션’ 호주 진출
- 과기정통부, 첨단패키징 및 AI 반도체 R&D에 약 6775억 원 투자
- 과기정통부-국방부, ‘민관군 양자정보협의회’ 출범
- 악의적 조작 콘텐츠와 딥페이크 대항법
- KISA, 제11회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경진대회 개최
- 복잡한 취업준비, AI와 디지털 배지로 간편하게
- 라온시큐어, 한국조폐공사 ‘모바일 신분증 구축 및 확대 용역’ 사업 수주
- 이글루코퍼레이션-리벨리온-코드빌, ‘AI 보안 기술’ 개발 협력
- 라온시큐어, AI·메타버스 플랫폼 전문기업 ‘라온메타’ 설립
- KISA-과기정통부,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 회의 개최
- 피싱 메일 심층 분석·차단하는 ‘조샌드박스 메일 모니터’
- 과기정통부, 지역 정보보호 사각지대 해소 본격 추진
- 드림에이스-호패, ‘차량용 신원 인증 솔루션’ 개발 협력
- 일본 진출한 라온시큐어 ‘구독형 생체인증 서비스’, 월 이용자 500만 돌파
- 클레온-스냅태그, '디지털 휴먼 부정사용 방지' 솔루션 출시
- 인도네시아 진출한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기반 DID 서비스’
- 라온시큐어, 생성AI로 '비전문가'도 악성 코드 읽는 기술 특허 획득
- 딥페이크 범죄 원천봉쇄하는 '동형 암호' 기술
- 라온시큐어, ‘2024 시큐업 세미나’ 개최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플랫폼 '옴니원' 오픈소스 공개
- 사기·봇·멀웨어·사이버 공격·게임 치팅 걱정 없는 ‘모바일 보안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