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두께 0.65mm로, 12GB 이상 LPDDR D램 중 가장 얇은 '12나노급 12·16GB LPDDR5X 규격 D램 모듈'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D램 모듈은 칩 2개를 1단으로 구성해 총 4단으로 쌓는 패키지 기술로 두께를 이전 세대 제품 대비 약 9% 감소시키고, 열 저항을 약 21.2% 개선했다. 또한, 패키지 회로 기판을 수분, 열, 충격 등 다양한 외부환경으로부터 반도체 회로를 보호하는 전자파 적합성(EMC) 기술을 최적화했다.
웨이퍼 뒷면을 연마해 두께를 얇게 만드는 패키지 공정인 '백랩'으로 최소 두께 패키지를 구현했다. 추가적 여유 공간을 확보해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기기 내부 온도 제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온디바이스 AI는 발열로 기기 온도가 일정 구간을 넘으면 기기의 손상을 막고자 클럭과 전압을 강제적으로 낮춰 온도를 낮추는 제어 기능인 '쓰로틀링'이 작동한다. 이번 제품을 탑재하면 발열로 인한 쓰로틀링의 작동 시간을 늦출 수 있어 기기 성능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6단 구조 기반 24GB, 8단 구조 32GB 모듈도 얇은 LPDDR D램 패키지로 개발해 고객의 요구에 맞춘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장 부사장은 “고성능 온디바이스 AI의 수요가 늘어나 LPDDR D램의 성능과 온도 제어 능력도 중요해졌다. 삼성전자는 기존 제품보다 얇은 저전력 D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고객과의 긴밀히 협력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전력효율·데이터보호↑고용량 '1TB 마이크로SD' 2종 출시
- 삼성전자, 혁신 스타트업 'C랩 아웃사이드' 공모
- 최태원 회장 “HBM 넘어 AI 시대 미래사업 경쟁력 강화해야”
- 삼성전자, ‘레드햇 인증’ CXL 인프라 구축 완료
- 온디바이스 AI 및 10.7Gbps 속도 지원하는 ‘LPDDR5X’
- 삼성전자, 36GB 5세대 HBM 12단 적층 D램 개발
- 삼성전자가 ‘갤럭시 AI’에 16개 언어를 탑재한 방법
- 삼성전자, 중소·중견기업에 나눠줄 특허 231건 공개
- 노트북에서 AI 기능 쌩쌩, 삼성전자 '갤럭시 북 4 엣지'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퀄컴·메타·아마존 등 빅테크 CEO와 연쇄 회동
- 로봇 자동화 프로세스 수요 증가 ‘서비스 로봇’ 시장 점화
- 인피니언, 말레이시아에 세계 최대 규모의 SiC 전력 반도체 공장 오픈
- ‘삼성 보안 기술 포럼’개최...생성AI 글로벌 보안 기술 공유의 장
- 이노디스크, AI 서버·클라우드 데이터센터용 ‘CXL 메모리 모듈’ 발표
- 기가바이트, ‘AMD 라이젠 9000’ 지원 메인보드 2종 출시
- 이노디스크, AI·에지 컴퓨팅 극대화하는 ‘64GB DDR5 DRAM’ 출시
- 국립전파연구원, '전자파 안전 토론회'로 생활 속 전자파 이해 증진
- 삼에스코리아, ‘반도체 패널 수납용기 트레이 결합 구조’ 중국 특허 등록
- [CES 2025] 기가바이트, 모두를 위한 AI 혁신 솔루션 풀라인업 대공개
- 삼성전자,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매출 75.8조 원, 영업이익 6.5조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