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반도체 산업에서 지속적인 혁신과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AI와 관련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경쟁력을 갖춘 선도자로의 위치는 중요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를 방문해 고대역폭메모리(이하 HBM) 생산 라인을 점검하고, AI 반도체 사업 현황을 확인했다.

최 회장이 방문한 HBM 생산 라인은 첨단 후공정 설비가 갖춰진 시설로, SK하이닉스는 이곳에서 ‘5세대 HBM3E 8단’ 제품을 지난 3월부터 양산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내에 ‘HBM3E 12단’ 제품을 양산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6세대 HBM4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HBM 생산 라인 점검 후, 최 회장은 경영진과 함께 AI 시대의 D램, 낸드 기술 및 제품 리더십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그는 “AI는 대세이며, 위기 속에서도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차세대 제품에 대해 면밀히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해외 빅테크 기업들이 SK하이닉스의 HBM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SK하이닉스 구성원들의 도전과 노력의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6세대 HBM을 조기 상용화해 국내 AI 반도체 리더십을 지키고 국가 경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그간 최 회장은 SK의 AI 밸류체인 구축을 위해 국내외를 넘나들며 전략 방향 등을 직접 챙겨왔다. 이에 SK는 HBM, 퍼스널 AI 어시스턴트 등 현재 주력하고 있는 AI 분야에 더해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 AI 토털 솔루션 제공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오픈AI·마이크로소프트와 만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속 사정
- 삼성-SK하이닉스-파네시아, 고성능·저비용 메모리 인터페이스 ‘CXL’ 기술 개발 박차
- “디지털 시대의 경쟁력은 통합과 자동화”
- 글로벌 반도체 경쟁, 어떻게 대응할까?
- 2024년 상반기 ICT 수출 전년대비 28.2% 성장
- 1.3페타플롭스 성능·1.5TB 메모리 지원 AMD 기반 기가바이트 서버...AI 워크로드 최적화
- [컴퓨텍스 2024] 기업과 컴퓨팅 혁신하는 ‘AI 기반' 가속기·프로세서·에지
- [컴퓨텍스 2024] AI 데이터센터 혁신하는 AMD 인스팅트 GPU 로드맵
- 슈퍼마이크로, HPC 및 AI 환경 최적화 수냉식 고성능 서버 라인업 선봬
- KAIST-네이버-인텔, 새로운 AI 생태계 공동 구축
- 레노버-AMD, AI용 차세대 서버 ‘씽크시스템 SR685a V3 8GPU’ 출시
- 델 파워엣지 서버에서 인텔 가우디3 AI 가속기 지원
- 인텔, 기업용 AI 구현 지원하는 ‘가우디 3∙AI 개방형 시스템 전략’ 발표
- “AMD, 백엔드에서 에지까지 전 영역에 AI 엔진 탑재한다”
- 웨스턴디지털, ‘AI 혁신’ 솔루션 대 공개...데이터센터·클라이언트·오토모티브·컨슈머 스토리지 성능 향상
- 삼성전자, 얇고 전력은 줄인 '12나노급 12·16GB LPDDR5X D램' 양산 시작
- 가우스랩스, AI 기반 가상 계측 솔루션 '판옵테스 VM 2.0' 출시...반도체 제조 공정 혁신
- SK하이닉스, 10nm급 1c DDR5 개발…생산성과 비용 효율 향상
- 삼성전자, ‘1Tb QLC 9세대 V낸드’ 발표...비트 밀도 86% 증가
- 딥엑스, AI 모델 비전 언어 모델·저전력 초격차 기술·AI 토털 솔루션 선봬
- [신년사] 최태원 SK그룹 회장, 어려움을 행동으로 극복하는 ‘지난이행(知難而行)’ 강조
- [CES 2025] SK하이닉스가 내놓는 비장의 AI 메모리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