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사이버안보센터가 국가정보원(원장 조태용)이 한국사이버안보학회(KACS, 학회장 김상배)가 주관하는 ‘2024 사이버안보 논문공모전’에서 지난 8월 5일부터 오는 9월 13일 까지 논문을 접수받는다고 29일 전했다.
공모 분야는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응용보안, 융합보안, 산업보안 등 사이버안보(보안)관련 ‘기술 분야’ ▲사이버안보 정책 및 전략, 동맹정책, 다자 협력,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규범 등 ‘국가전략 분야’ ▲사이버안보 국내외 법 제도 및 정책 분야 총 3개이며, 국내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다.
기술 분야는 한국정보보호학회 논문지 게재 양식을, 국가전략 분야는 한국사이버안보학회의 사이버안보연구 양식을, 법 제도 및 정책 분야는 논문 내용에 따라 공법연구·정보보호학회·국방정책연구 양식을 준수해야 하며, 모든 분야의 분량 제한은 20페이지 이내이다.
한편, 수상작 출판에는 제한이 없으며, 학회지 게재 또는 단행본 출판시에 「본 논문은 국가정보원이 주최하고 한국사이버안보학회가 주관한 「2024 사이버안보 논문 공모전」에서 OO상으로 선정된 논문(을 토대로 수정 보완한 논문)입니다.」라는 사사표기가 들어가야 한다.
제출된 응모작은 최종 논문 접수 마감일 기준 국내외 논문지에 투고·게재예정·게재되지 않은 신규 연구 결과여야 하며, 게재된 논문의 번역 논문은 기존 연구 결과로 간주한다. 한편, 복수 투고가 불가하며, 학술대회에서 발표했으나 아직 투고하지 않은 논문 혹은 학술대회에서 향후 발표할 논문은 투고가 가능하다. 또한 공동 연구 인원 제한은 없다.
응모작 중 19편의 논문을 선정해 대상 3편(각 5백만 원), 최우수상 3편(각 3백만 원), 우수상 3편(각 2백만 원), 장려상 10편(각 1백만 원) 총 4천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수상자 발표는 오는 10월 중, 시상식은 오는 11월 2일에 있을 예정이다. 참여를 희망하거나 행사와 관련한 세부 사항은 한국사이버안보학회, 국가사이버안보센터 누리집을 참조하면 된다.

관련기사
- 북한 해킹그룹 'UAT-5394', '김수키' 유사 전술 트로이목마 '문피크' 공격 감행...회피기법도 진화
- 美 대선, 이란 발 피싱공격·가짜뉴스로 골머리
- 국정원, 글로벌 사이버안보 행사 ‘CSK 2024’ 개최
- AI 군사 활용, 90개국 머리 맞댄 ‘2024 REAIM 고위급회의’
- 북한 해킹 팀 APT45, 핵관련 시설 및 원자력 발전소 공격
- AI 위협 우려 속 ‘생성AI 사이버 보안 시장’ 급성장
- 국정원, ‘공공 클라우드 보안정책’ 간담회 개최
- 악의적 조작 콘텐츠와 딥페이크 대항법
- 글로벌 사이버보안 동향...신종 멀웨어 출현, 기업 및 국가 겨냥 공격 등
- 국정원, ‘2025 사이버 챔피언스 서밋’ 개최 추진
- KOSTA,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기술대상 및 IT아키텍처 대상' 공모
- 방위사업청, AI 강군 육성 대비 '국방반도체사업단' 출범
- 국정원, ‘한국우주안보학회’ 우주안보 전문기관으로 지정
- MDPI, 연구 신뢰성 높이는 ‘AI 기반 논문 심사자 추천·첨삭’ 서비스 선봬
- 국정원-과기정통부, '국가 SW 공급망 보안 TF' 발족
- 美, MS 등 주요 기관 대상 3만 5000건 DDoS 공격 배후 인프라 차단
- 비트디펜더, 랜섬웨어 ‘슈링크로커’ 해독 도구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