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무인화 기술의 빠른 도입으로 국방에서 반도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첨단 무기체계는 반도체 기술에 의존하며, 이는 국방 자립성과 기술 강화의 핵심이다. 국방반도체는 단순한 부품을 넘어 국가 안보와 미래 전력 강화에 필수 요소이다.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이 대전 청사에서 국방반도체를 체계적으로 기획·관리·평가 및 인증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국방반도체사업단’이 출범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방반도체사업단’은 전쟁의 무인화와 AI 지능화로 국방반도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취약한 기술력과 자립도를 강화하기 위해 설립됐다.

방위사업청은 국방반도체사업단을 기반으로 국방반도체 국내생산 능력을 강화하고, 국방반도체 전 과정 가치사슬을 구축해 첨단 반도체 산업생태계를 구축하고 과학기술 강군을 육성한다.

이와 관련해,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무기체계 관련 기관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종합기술원 등 반도체 연구기관,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등 기술기획 기관을 포함한 사업단을 구성해 국방반도체 기술의 자립과 생산 역량 확보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한편,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국방과학연구소, 나노종합기술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국방반도체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기술력 강화하고자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는 이 협약으로 국방반도체 연구개발과 신뢰성 인증체계 구축을 위해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 개발 기획, 공급망 조사, 신뢰성 인증,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등 국방반도체 전반 업무를 수행하며, 첨단 AI 강군 육성 관련 생태계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AI가 탑재될 유·무인복합체계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장치인 만큼 무기가 첨단화될수록 국방반도체 수요는 급증할 것이다. 국방반도체 국내 생산 능력 확보는 경제적, 안보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며, 국방반도체사업단이 방산 4대 강국 도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와 전자신문인터넷이 오는 9월 27일(금) 서울 양재동 엘타워 그레이스홀(양재역)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NABS(Next AI & Bigdata Summit) 2024”에서는 “비즈니스에 성공하는 AI & Big Data 혁신 전략”을 주제로 글로벌 AI와 빅데이터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리더 기업들이 급변하는 기술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생산성과 효율성 및 비용 절감까지 조직과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는 맞춤형 차세대 AI와 빅데이터 전략을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