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문기업 셀바스AI(대표 곽민철)가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과 함께 골든타임 단축 및 증증 외상환자 생존율 제고를 목표로 음성인식 등 AI 기술을 외상치료·응급의료 현장에 적용한 ‘AI 기반 중증외상 전 주기 케어시스템’을 개발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전담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부처 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 일환으로 추진된다.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내 현장 실증 후, 전국 8개 닥터헬기 운용 지역, 17개 권역외상센터, 400여개 응급의료기관에 적용할 계획이다.

중증외상은 골든타임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이송 과정에서 의사소통, 환자 이송 시간 지연 등의 이유로 외상 사망률이 현저히 높은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병원 전 단계, 병원 단계, 전 주기 등 총 3개 단계에 걸쳐 AI 기술 접목 및 현장 실증이 이루어진다.

전 주기 단계에서는 음성인식으로 사고 현장에서 파악한 정보를 시각화해 병원 도착 전 의료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병원 단계에서는 소생실 내 응급치료에 AI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병원 전 단계에서는 사고 현장 파악에 음성인식이 적용된다. 119구급대원-권역외상센터 간 사고 현장 의사소통 과정을 음성으로 신속하게 파악한다. 이를 통해 닥터 헬기 출동 여부 및 현장 중증도를 분류해 이송 병원으로 환자 의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된다.

병원 단계에서는 권역외상센터의 소생실로 인계된 환자의 CT 의료영상에서 AI 기반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해 출혈 부위 및 출혈량과 의료진이 확인하기 어려운 손상을 파악해 최종 치료 계획수립에 대한 의료진의 결정을 지원한다.

또한 기록이 필요한 데이터를 EMR에 자동 등록해 기록지를 타이핑해야 하는 부담 없이 환자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업무 효율화를 도울 예정이다.

셀바스AI 윤재선 음성인식 사업대표는 “AI, IT 서비스 기술력뿐만 아니라 상급 종합병원, 군 이동형 원격의료 등의 사업화 경험을 바탕으로 응급의료 분야를 비롯한 AI의료 분야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며 “향후 계열사인 의료기기 전문기업 메디아나가 내놓은 응급의료시스템과 같은 제품에 AI 기능을 접목하고, 전사적으로 AI의료사업을 더욱 넓혀가는데 힘 쏟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