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HR 플랫폼 리모트(Remote, 대표 욥 반더 부르트)가 발표한 ‘2024 글로벌 인력 보고서’에 따르면, 유연한 근무 제도를 채택한 기업들이 사무실 근무 기업보다 더 많은 인재를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연한 근무 제도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전통적인 사무실 근무 방식의 기업보다 더 많은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연한 근무 제도를 제공하는 기업들이 전통적인 사무실 근무 방식의 기업보다 더 많은 인재를 유치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10개국 4000명 이상의 비즈니스 리더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응답자의 73%가 지난 6개월 동안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조직으로 인해 직원을 잃었다고 답했으며, 84%는 직원들로부터 유연 근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중에서도 하이브리드 근무제를 도입한 기업들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76%가 현재 신규 인력을 채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오피스 등 특정 장소 기반 기업은 70%만이 신규 채용을 진행 중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미국과 프랑스에서 계약직과 프리랜서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었으며, 전체 기업 중 34%가 계약직 근로자의 활용을 늘리고 있다고 답했다.

직원 만족도·생산성·기업 경쟁력 높이는 ‘유연 근무제’

사무실 기반 기업의 41%는 적합한 기술을 갖춘 후보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원격 근무 기업은 31%만이 같은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원격 근무를 도입한 기업 중 26%는 직원 이직률 감소, 24%는 넓은 인재 풀에 접근할 수 있는 점을 운영상의 주요 혜택으로 주목했다.

한국의 인사 담당자 중 40%가 유연 근무 방식이 생산성 증가로, 31%는 기업 성과 향상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이는 일부 유명 기업들이 생산성 문제로 사무실 복귀 정책을 도입한 것과 상반된 결과이다.

원격 근무가 직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40%가 직원 만족도가 증가했다고 답했으며, 원격 근무가 직원들의 삶과 일의 균형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응답한 기업도 40%에 달했다.

아울러, 유연한 근무 장소 정책을 도입한 한국 기업들은 다양한 지역에서 많은 인재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으며, 특히, 250명 이상 규모의 기업들은 인재의 수준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원격 근무가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법적 문제·비용 증가·문화적 적합성 차이로 유연 근무제 도입 어려워

유연 근무제는 많은 혜택이 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국제 노동법 준수 관리로, 원격 근무를 도입한 기업 중 77%가 지난 6개월 동안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응답자의 78%는 원격 기술 도입으로 비용 증가와 원격 팀 운영의 문제를, 74%는 원격 근무자의 문화적 적합성 평가가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

그러나 원격 및 하이브리드 근무 모델을 도입한 기업 중 74%는 사무 공간을 축소할 수 있었다고 보고했다.

리모트의 욥 반더 부르트(Job van der Voort) 대표는 “이 보고서는 유연한 원격 근무의 장점이 어려움 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리모트는 다른 기업들이 유연한 근무 방식 도입해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한다.”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와 전자신문인터넷이 오는 9월 27일(금) 서울 양재동 엘타워 그레이스홀(양재역)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NABS(Next AI & Bigdata Summit) 2024”에서는 “비즈니스에 성공하는 AI & Big Data 혁신 전략”을 주제로 글로벌 AI와 빅데이터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리더 기업들이 급변하는 기술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생산성과 효율성 및 비용 절감까지 조직과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는 맞춤형 차세대 AI와 빅데이터 전략을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