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업무에도 AI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그 이유는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AI는 대량의 지원자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해 적합한 후보자를 신속히 선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채용 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AI는 편견을 줄이고 공정한 선발 과정을 지원하여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화한다.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해 리크루터는 더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으며, AI는 지원자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시장 조사기관 스터핑 인터스트리 애너리스츠(Staffing Industry Analysts)는 향후 3년 내에 현재 채용 업무의 40%가 AI로 대체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AI 기반 리크루팅 솔루션의 선도 기업인 컨버즈AI(ConverzAI)가 AI 기반 가상 리크루터를 통해 인재 확보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컨버즈AI를 도입한 기업들은 수익이 40% 증가하고 효율성은 30% 개선되었으며, 후보자 만족도는 75% 이상이라는 결과를 기록했다.

음성AI(Voice AI) 기술을 채용 산업에 도입한 컨버즈AI는, AI 기반 가상 리크루터를 통해 상업, 전문(IT 및 비 IT), 헬스케어 분야의 채용 기업들에게 확장성과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산업을 혁신하고 있다.
컨버즈AI의 가상 리크루터는 생성AI와 에이전트 AI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소싱, 후보자 참여, 그리고 배치까지 전 과정을 자율적으로 관리해 기존의 채용 방식을 혁신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까지 10만 개 이상의 미국 내 일자리가 컨버즈AI의 가상 리크루터를 통해 처리되었고, 수백만 명의 후보자들이 이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인재를 신속히 식별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고객 기반을 두 배로 확장할 계획이다.
컨버즈AI의 가상 리크루터는 글로벌 상업, 헬스케어, 전문 채용 기업인 탈렌트버스트(TalentBurst)와 I.K. 호프만(Hofmann)을 포함한 다수의 기업들이 선택하고 있다. I.K. 호프만은 컨버즈AI의 가상 리크루터로 후보자 인터뷰를 자동화하고 커뮤니케이션을 간소화하여 채용 효율성을 높였다. 이로 인해 I.K. 호프만은 높은 채용 수요를 충족시키면서도 후보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지원자들은 AI 리크루터와의 상호작용을 5점 만점에 4.5~4.6점으로 평가하며, I.K. 호프만은 인터뷰 과정을 자동화해 후보자와의 관계 구축에 집중할 수 있었다.
워크포스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탈렌트버스트는 컨버즈AI의 기능을 활용해 3일 만에 5000명의 지원자를 선별하고 40% 더 많은 일자리 배치를 달성했다. 탈렌트버스트의 창립자 겸 최고 운영 책임자인 발짓 질(Baljit Gill)은 “컨버즈AI 덕분에 리크루터는 관계 구축에 집중할 수 있고, AI는 주당 160명 이상의 적합한 후보자를 평가해 제출할 수 있게 됐다. 이 파트너십 덕분에 우리는 채용 목표를 달성하고 채용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컨버즈AI의 창립자 겸 CEO인 애쉬와라 포다르(Ashwarya Poddar)는 “우리는 기술을 통해 채용 과정을 더 빠르고 스마트하게, 그리고 포괄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으며, 동시에 깊이 있는 인간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리크루터는 채용 회사의 핵심 기능이며, 컨버즈AI는 유니콘(Unicorn) 리크루터를 통해 기존 팀의 운영을 보완하고 강화하고 있다. 일상적인 업무를 자동화해 리크루터가 후보자 관계 관리에 집중하도록 시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 경쟁력을 높이는 열쇠다.”라고 말했다.
포다르는 또한 “지난 1년간 고객들이 고객들이 모든 채용 업무를 우리 플랫폼을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신뢰를 쌓아 성장했다. 온보딩 과정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고객들은 도입 비용이나 IT 작업 없이 며칠 만에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 이는 채용 회사들이 전통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던 소프트웨어와는 차원이 다른 혁신적 변화다. 컨버즈AI 솔루션은 그 이상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인력 전략 강화하는 AI와 데이터 기반 ‘노동 시장 분석 솔루션’
- 무하유, 몬스터 역량검사 업데이트...조직 부적응 가능성 예측 강화
- ‘취업 사기 급증’...선불 지급·기밀 정보 요청·무면접 주의
- 기업 인사·재무 혁신하는 워크데이 ‘AI 에이전트’
- 국내 스타트업, ‘글로벌 시장·AI’가 돌파구
- AI가 전문 서비스 시장 재편
- ‘유연 근무 제도’ 기업 “인재 유치 쉬워”
- 노우비포, 북한 ‘위장 직원’ 고용 사기 경고 발령
- 사이버 보안 인력 부족의 원인은 ‘예산 부족’
- 무하유, 채용 관리 플랫폼에 'AI 서류 평가·면접 서비스' 연동
- 감정 표현 풍부한 다국어 지원 AI 전화 상담원…고객 경험·만족도↑
- 프로세스 자동화로 ‘최소한의 노력, 최대한의 성과’
- 개발 속도와 품질이 향상되는 AI 코딩 에이전트
- 개발자 생산성 10배 올리는 AI 에이전트
- 기업 AI 활용 가치 높이는 6대 전략
- [기고] ‘고객 경험 향상’한 채용 프로세스 아웃소싱, 2025년 채용 시장 주도
- 업무 간소화하는 ‘AI 에이전트’...비즈니스 성과 ‘최대 50% 개선’
- 채용 품질(QoH), 인재 전략과 비즈니스 성공의 연결 고리
- 2025년 인재 확보 우선 순위 “직원 가치 제안 구축”...기업 혁신·생산성 향상 기여
- AI 에이전트 성능 높이는 ‘자동화·성과분석 AI 솔루션’
- 동적 시뮬레이션으로 지원자 역량 검증하는 ‘AI 기반 채용 도구’...빠른 채용 결정
- 헬스케어·기술 특화 인재 매칭 솔루션...채용·온보딩·관리 효율 극대화
- 지점별 실시간 채용 데이터 통합 대시보드...채용 기간 20% 단축, 채용지표 개선
- “채용 둔화 속 AI가 고임금 기술 일자리 수요 견인”
- 면접통과율 5배 높이고 채용비용 최대 80% 줄이는 ‘AI 채용 에이전트’
- 중소기업 인력난 해법 ‘AI 기반 글로벌 인재 채용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