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가 화석연료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은 생산부터 폐기까지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소재로, 기후변화 대응에 큰 장애물로 꼽히고 있다. 플라스틱의 전 세계 수요는 206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의 양이 물고기의 수를 초과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플라스틱은 종류나 성분이 다양해 재활용 자체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2022년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비율은 9%에 불과하다.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솔루션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폐 폴리에스테르(PET)의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보유한 스위스 기업 ‘GR3N’과 협력해 첨단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을 위한 개방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GR3N은 폐 플라스틱의 순환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인 MADE(Microwave Assisted DEpolymerization)를 선보이고 있다. 이는 PET를 화학적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포장재 및 섬유에 사용할 수 있는 신품과 같은 품질의 새로운 PET 펠릿(Pellet)으로 재결합한다. 알칼리 가수분해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기술보다 더 많은 불순물을 처리할 수 있다.
GR3N은 IEC 61499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인 에코스트럭처 오토메이션 엑스퍼트(EcoStruxure Automation Expert)를 도입하여 스페인에 MADE 공장을 새롭게 구축할 예정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EAE는 UAO 런타임 엔진 기반의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이다. 이는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에서 분리하고 여러 자동화 공급 업체의 제안을 원활하게 통합하도록 설계돼 산업 분야에서 전례 없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산업 자동화 시스템 통합업체 및 OEM에게는 보다 뛰어난 민첩성과 간편함을 제공한다.
GR3N의 스페인 MADE 공장은 UAO 런타임 엔진을 사용하는 최초의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으로, 연간 4만 톤 이상의 PET 폐기물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GR3N의 마케팅 및 비즈니스 개발 책임자인 파비오 실베스트리(Fabio Silvestri)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및 하드웨어 독립성을 통해 GR3N은 운영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기술의 한계를 확장할 수 있다.”며 “특히 효율성 개선에 빠른 시스템 재구성과 하드웨어에 구애받지 않아 공급망 문제도 줄일 수 있다. 이는 대규모로 고급 플라스틱 재활용을 실현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다.”라고 설명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에너지 및 화학, 산업 자동화 부문 사장인 크리스토프 드 마이스트르(Christophe de Maistre)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4억 6천만 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 주기 전체에 걸친 통합,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한 모듈화, 그리고 고급 분석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 솔루션이 필수적이다.”며 “GR3N과의 이번 협력을 통해 유연성 및 확장성, 효율성을 개선하고, 산업 규모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슈나이더 일렉트릭, 에지 컴퓨팅 맞춤형 ‘마이크로 데이터센터’ 발표
- 슈나이더 일렉트릭, ‘전기 화재 예방솔루션’으로 안전 강화
- 슈나이더 일렉트릭, 2분기 지속가능성 영향 성과 보고서 발간
- 슈나이더 일렉트릭, 피닉스컨택트 제품군에 범용 자동화 솔루션 배포
- AI 데이터센터 효율 높이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냉각 솔루션’
- 데이터센터 열 문제, 기압 차와 공기 차폐 냉각으로 해결
- 유연한 확장성 ‘마이크로 모바일 데이터센터’ 주목
- [Success Story] 기후 스타트업 기술력 강화하는 자동화 솔루션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시장, 산업용 IoT와 친화적 인터페이스 요구 증가로 꾸준한 성장세
- IoT 접목한 슈나이더 일렉트릭 ‘디지털 보호계전기’...안전하고 스마트해져
- 지능형 냉각 기술 탑재 에지 기반 ‘마이크로 데이터센터’...표준화 설계·단일 올인원 솔루션 운영
- 슈나이더 일렉트릭,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 솔루션 ‘보안 레벨 2’ 인증 획득
- 슈나이더 일렉트릭-알스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산업' 협력
-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디지털혁신협회, 국내 제조 기업 ‘개방형 자동화’ 기술 확산 협력
- 슈나이더 일렉트릭, 물류 ‘맞춤형 개방형 자동화 솔루션’ 선봬
- 슈나이더 일렉트릭, 모티브에어 ‘D2C 액체 냉각 기술 기업’ 인수
- SAP가 글로벌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는 방법
- 대규모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 최대 99% 달성 UPS...3년 내 투자 회수
- “아시아 기업 3곳 중 1곳, 향후 2년간 지속 가능성에 100만 달러 규모 투자”
- 슈나이더 일렉트릭 파운데이션, 다양한 CSR 활동으로 지역사회와 지속가능성 실현
- 슈나이더 일렉트릭-엔비디아, AI로 인한 에너지 및 지속 가능성 문제 해결 솔루션 발표
- 슈나이더 일렉트릭,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재건에 ‘전력 및 안전 관리 솔루션’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