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oT는 IoT의 데이터 수집과 AI의 분석 및 학습 기능이 결합돼 스마트한 자율 시스템을 구현한다.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필수적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2024 AIoT 국제전시회’에 참가해 연구·개발 중인 최신 AIoT 기술을 선보인다고 31일 밝혔다.

“AIoT가 만드는 일상의 가치, 산업의 혁신!”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탄소 및 에너지 ▲재난안전 ▲산업 ▲미래교통 등 IoT 핵심기술 및 솔루션 8개 기술과 미래 IoT 인프라 2개를 공개한다.

탄소 및 에너지 분야에서는 바이오·의약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생산 및 설비 운영상 최적의 에너지 소비와 절감을 위한 업종별 공정 맞춤형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기술을 선보인다. 아울러 공장 내 소비 에너지 절약을 위한 ‘공장 에너지 관리 표준 플랫폼’은 정보통신기술을 접목시켜 공장 내 에너지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분석, 제어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시스템 적용 확대를 위한 인공지능 학습 및 다중 신호 융합 ‘인공지능형 복합센서’ 기술도 공개한다.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광센서로 에어로졸 입자를 신속하게 감지, AI로 화재와 비화재를 구분하는 ‘오경보 방지 AI 화재 센서’ 기술을 선보인다. 센서 음영구역 내 안정적 디지털트윈 플랫폼 운영을 위한 ‘가상센서 및 프레임워크’ 기술과 체액 내 다양한 질병 표지 인자를 신속하게 측정하는 ‘현장검사 진단센서’ 기술도 전시한다.

산업제조 분야에서는 ‘제품 제조공정 자동 작업계획 및 스케줄링’ 기술을 선보인다. 이 기술은 작업 순서와 설비에 따라 달라지는 설정 및 복잡한 제약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다수다종 설비 기반 제품제조 공장의 계획과 설비 단위 생산계획을 자동생성한다.

미래교통 분야에서는 미래 에어모빌리티(AAM) 운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첨단영상 및 공간정보 기반 AAM 위치추정’ 기술을 전시한다. AAM 운행 중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 확인이 어려울 때 활용되는 영상 기반 AAM 위치 추정 기술로, AAM 운행의 안정성을 더한다.

미래 IoT 인프라 분야에서는 대규모의 IoT 디바이스들이 산업현장에서 전파혼선 없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고신뢰 IoT 네트워크’ 기술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다수의 디지털트윈을 연계해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최초의 지능형 디지털트윈 연합 기술’을 선보인다.

ETRI 김승환 디지털융합연구소장은 “AIoT는 국가지능화를 위한 핵심기술”이라며 “빅데이터/AI, 무선 사물인터넷 등 첨단 ICT와 융합된 IoT기술을 기반으로 미래사회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기술 개발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