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로봇청소기를 비롯해 홈캠, 지능형 가전(스마트가전) 등 일상생활에 IoT 제품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IoT 제품에 대한 해킹사례가 발생하는 등 보안이 확보되지 않은 사물인터넷 제품으로 인한 국민의 사생활 침해 우려도 함께 증가하여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소비자가 안전한 IoT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전, 주택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IoT 분야에 대한 보안 기준을 마련해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제도를 ’21년부터 법제화해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VR7MD97716G
삼성전자 비스포크 VR7MD97716G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이 삼성전자 등 IT 기업 및 기관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최고단계를 획득한 삼성전자 로봇청소기 ‘VR7MD97716G’ 를 대상으로 IoT 보안 인증서를 17일 수여했다.

과기정통부는 삼성전자의 로봇청소기가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중 최고 수준인 스탠다드 유형의 모든 시험평가 항목(43개)을 통과함에 따라 인증서 발급을 확정했다. 또한 앞으로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안전한 사물인터넷(IoT) 제품을 식별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표식(인증마크+QR코드)을 도입 및 확산할 예정이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최근 사물인터넷 제품의 편리함으로 인해 국민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나, 아직 보안에 대한 인식은 낮은 수준”이라며, “소비자들에게 사물인터넷 보안의 중요성을 알리고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제품을 확대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사물인터넷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