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청장 임기근)은 1일 AI 융복합 제품 등 공공성 및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45개의 혁신제품에 지정서를 수여했다.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최대 6년 동안 수의계약 가능, 조달청 예산으로 시범구매(실증 테스트) 지원, 구매 면책, 구매목표비율과 우선구매 제도로 판로를 지원받는 등 다양한 혜택을 받다.

최근에는 AI 기반 제품 및 융복합 로봇 등 최신기술을 활용한 제품들이 지정돼 공공서비스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폐질환 분석 솔루션, 허리근력 보조 웨어러블 로봇, 주차정보 통합 AI 솔루션 및 안티드론 시스템 등 신성장·신산업을 견인할 제품들이 다수 지정되었다.
조달청은 혁신제품 기업들이 공공조달 판로로 성장하고 해외조달시장으로 도약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올해는 범부처 협업을 통해 공공판로에 더하여 금융, 마케팅, 인력 등 전방위 패키지로 지원하고 있으며, 단가계약 본격 추진, 70억원 규모 해외실증 비용 확대 등 기업들의 현장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제도 개선했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기업들의 끊임없는 기술개발 노력과 혁신의지가 역동경제를 이끄는 힘이다. 조달청은 공공조달의 주인인 중소‧벤처‧혁신기업이 도전하고, 성장하고, 해외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데 적극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은비 기자
eunbi@gttkorea.com
관련기사
- 엔텔스, IoT 통합 관리 플랫폼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선정
- 과기정통부, ‘AI 시대의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제시
- 日 지자체 주목 받는 국산 'AI 휴먼 공공서비스'
- 항공안전기술원,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으로 지자체 맞춤형 드론 서비스 확대
- 민관 협력 'AI 공공서비스' 개발 착수
- 과기정통부, 공공서비스 개선 ‘2024년 거브테크 창업경진대회’ 개최
- 파라메타, KISA ‘공공용 블록체인 공동 인프라 구축’ 사업 수주
- 과기정통부, 블록체인 공공·민간분야 사업 추진
- 스마트 물류용 자율 이동 로봇...“정확한 위치 측정·내비게이션·장애물 회피” 다재다능
-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원격진료’ 판도 바꾼다
- '드론과 로봇 간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시티 안전·긴급 대응체계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