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센서, SW, 자율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리얼리티 솔루션 기업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지사장 성 브라이언, 이하 헥사곤)이 지난 1일 부천 고려호텔에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관인 ‘2024 부천 국제금형컨퍼런스’에 참가해 AI 활용 제조업 협업 강화 전략을 제시했다.

헥사곤이 지난 1일 부천 고려호텔에서 ‘2024 부천 국제금형컨퍼런스’에 참가해 AI 기능을 통한 제조업 협업 강화 전략을 제시했다
헥사곤이 지난 1일 부천 고려호텔에서 ‘2024 부천 국제금형컨퍼런스’에 참가해 AI 기능을 통한 제조업 협업 강화 전략을 제시했다

이 행사에서 헥사곤의 스티븐 그레이엄(Stephen Graham) 부사장 겸 넥서스 총괄은 제조 현장의 AI 통합 경험을 바탕으로, AI 협업 활용 제조업의 미래 역량을 강화 전략과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헥사곤의 ‘글로벌 첨단 제조 산업 보고서(Advanced Manufacturing Report)’에 따르면, 제조 산업의 97%가 협업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품 품질 개선(88%), 시장 출시 시간 단축(86%),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82%) 등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헥사곤의 ‘넥서스(Nexus)’ 플랫폼은 설계부터 품질 검사까지 금형 산업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토탈 솔루션을 갖추고 있다. 설계 및 시뮬레이션 단계에서는 통합 캐드·CAE·CAM 솔루션 ‘VISI’, 유한요소해석 솔루션 ‘MSC 나스트란(MSC Nastran)’, 피로·내구 수명 해석 솔루션 ‘CAE 퍼티그(CAEfatigue)’ 등의 SW로 금형 설계, 구조 해석, 피로 수명 예측을 지원한다.

또한, 사출 및 금속 성형 해석에는 비선형 멀티스케일 재료 및 구조 모델링 플랫폼 ‘디지매트(Digimat)’, ‘시뮤팩트 포밍(Simufact Forming)’, FTI 등으로 복합 재료 물성 분석과 금속 성형 공정 최적화를 돕는다.

아울러 제조기업이 협업 역량 강화할 수 있게 타사 솔루션을 포함한 제조 솔루션을 지원한다. 특히, AI 기능으로 산업 제조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헥사곤의 스티븐 그레이엄 부사장은 "헥사곤 솔루션이 금형 산업의 효율성과 품질 개선을 지원하며 제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해 자원 최적화와 생산성 향상, 전반적인 품질 개선을 이룰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와 ‘전자신문인터넷’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NSWS(Next Smart Work Summit) 2024”에서는 글로벌 스마트워크 솔루션 선도 기업들이 참여하여 최신 기술과 시장 동향, 그리고 기업이 당면한 문제의 해결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이번 서밋에서는 AI와 스마트워크를 활용한 혁신적인 업무 환경 구축 및 활용 전략 공유와 함께 전시 부스를 통해 기업에 필요한 다양한 스마트워크 활용법을 구체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장도 마련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