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조기업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지사장 성 브라이언, 이하 ‘헥사곤’)이 지난 29일 ‘헥사곤 DX 이그제큐티브 포럼(Hexagon DX Executive Forum, 이하 헥사곤 DX 포럼)’을 개최했다고 30일 전했다.

헥사곤은 헥사곤 주요 임직원과 방산, 항공, 자동차, 조선업, 건설, 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대기업 및 중소·중견 기업 임원진, 학계 교수, 연구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 제조와 탄소중립 실현을 주제로 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DX) 및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조연설, 세션, 전시를 통해 제조기업의 공장 자동화 및 자율화, 지속가능성 달성 등의 주제에 대해 논의됐다. 헥사곤은 AI와 자율 제조를 활용한 디지털 혁신 사례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헥사곤 그린테크 포트폴리오를 소개했다.
행사의 기조연설을 맡은 전창록 대구대학교 교수(전 IGM 세계경영연구원)는 ‘AI 시대에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AI를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전 교수는 AI를 기업의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와 더불어 외부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데이터 기반의 연결성을 극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션에서는 에릭 요센손(Erik Josefsson) 알에볼루션(R-evolution) CEO, 홍석관 헥사곤 코리아 부사장과 이우영 헥사곤 코리아 본부장이 연사로 참여했다.
세 개 세션은 각각 ▲에너지에서 자연에 이르는 디지털 혁신 ▲친환경 제조 산업 환경 구축을 위한 헥사곤 자동화 및 DX 기술 ▲제조 공정상 탄소 배출의 실제 데이터 기반과 LCA(전과정평가, Life Cycle Assessment) 방법의 필요성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에릭 CEO는 헥사곤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탄소 배출 감소와 지속 가능 경제 확대를 목표로 하는 알에볼루션의 다양한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알에볼루션은 태양광, 풍력, 수소, 생태계 모니터링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호주의 수소 인프라 개발 기업 H2U의 그린수소, 그린 암모니아 플랜트 설계와 개발에 디지털 자산 관리 솔루션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H2U는 헥사곤의 디지털 리얼리티 기술을 기반으로 시설의 기획, 설계, 건설, 인수인계, 운영 및 유지보수 등 전 생애주기 단계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한편, 홍석관 부사장은 친환경 제조 환경 구축을 위해 기업이 당면한 과제를 분석하고, 헥사곤의 지속 가능한 설계, 해석, 생산, 제어, 품질 및 자산 관리 솔루션을 소개했으며, 이우영 본부장은 제조 환경의 탄소 모니터링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과 헥사곤의 탄소 배출량 데이터베이스(DB) 솔루션을 소개했다.
전 세계 제조기업은 기후 위기에 대응해 탄소중립 달성을 원재료, 제품 생산, 판매, 폐기 또는 재사용 등 제품의 전 생애주기 및 공급망 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례로, EU는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배터리 소재 제조 및 판매자가 제조공장별로 생산된 각 배터리 모델에 대해 별도로 탄소 배출량을 산정 및 제출하도록 결정했다.
이에 반해 한국은 제품의 전주기 탄소 배출량 측정을 위한 필수 요소인 LCI(전과정 목록, Life Cycle Index)에 대한 DB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헥사곤은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필수 과제인 ‘LCI DB 구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계측 및 측정 센서를 활용한 실제 데이터를 클라우드형 플랫폼과 연계한다.

한편, 행사장에 마련된 전시장에서 참가자들은 헥사곤의 수소, 배터리, 에너지, 자율 제조, 데이터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의 헥사곤 그린테크 포트폴리오를 직접 경험했다.
전시에서 태양광 팜 솔루션, 배터리팩 솔루션, 항공소음 분석 솔루션, 자율주행 솔루션을 비롯한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선보였으며, 모듈식 자동화 검사 솔루션 프레스토(PRESTO)도 선보였다.
프레스토는 다관절 측정기, 3D 스캐너, 레이저 트래커가 결합된 시스템으로, 현대 제조업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연계하여 속도, 품질, 정확성을 갖춘 모듈식 설계를 제공한다.
성 브라이언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 코리아 대표는 “이번 헥사곤 DX 이그제큐티브 포럼을 통해 국내 제조업의 미래를 책임질 리더들에게 제조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전략과 글로벌 제조 기업의 DX에 적용된 헥사곤의 디지털 리얼리티 솔루션을 소개했다.”라며 “헥사곤은 앞으로도 제조 기업이 당면한 문제를 경청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국내 제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헥사곤, ‘DX 이그제큐티브 포럼’ 개최... 디지털 전환과 탄소 중립 전략 제시
- 헥사곤, 산업 현장 디지털 모니터링 및 최적화 솔루션 출시
- 헥사곤, 좌표 측정기 유지 보수 지원 서비스 ‘마이케어’ 출시
- 헥사곤 ‘스마트 스캔 VR800’ 3D 스캐너,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상
- 제조업체 98% ‘데이터가 비즈니스 걸림돌’
- 헥사곤-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디지털 혁신 인재 양성 협력
- 헥사곤-스맥, 스마트제조 고도화 협력
- 스마트 제조의 미래, 'AI·디지털 트윈·하이브리드 모델' 융합
- 엔츠, SaaS 탄소회계 플랫폼 ‘엔스코프’ 출시... 탄소 중립 전 과정 지원
- ‘인텔 코어 울트라 200V’ 프로세서, AI 성능↑·50% 전력↓
- 한국에머슨 ‘통합 자동화 솔루션’으로 무한 자동화·지속가능한 수소 경제 실현
- 복잡한 기업 자산관리, AI 챗봇 적용 '셀리즈 AI에이전트'로 간편성·경영 효율성↑
- 써맥스, 세레스 ‘SOEC 기반 친환경 수소 생산 에너지’ 시장 공급
- 헥사곤 ALI-현대건설, '스마트 EPC' 역량 강화 맞손
- ‘헥사곤 라이브 서울’ 컨퍼런스 개최
- 다쓰테크, 캐나다에 상장으로 북미 ‘친환경 에너지 시장’ 적극 공략
- 라이카지오시스템즈, '중장비 제어·1인 측량·리얼리티 캡처' 스마트 건설 솔루션 선봬
- 헥사곤 ‘HxGN EAM’, 그린 쿼드런트 ‘엔터프라이즈 설비자산 관리 SW’ 리더 선정
- 다쓰테크, 태양광 발전소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출시...운영 효율성∙신뢰성↑
- 헥사곤, 금형 산업 'AI 활용 디지털 전환·협업 강화' 전략 제시
- 헥사곤-GERI-디지탈체인, 경북 제조 기업 ‘디지털화·자율 제조 역량 강화’ 협력
- 배터리 설계 혁신하는 ‘전기화학 시뮬레이션’
- 헥사곤 ‘프로플랜AI’, AI 기반 CAM 프로그래밍 최적화 지원
- 헥사곤-국립창원대학교, ‘스마트 제조 SW 전문인력 양성’ 협력
- 몬드리안AI, 산업부 'AI 자율제조 시스템 개발 사업' 착수
- 수소차 글로벌 경쟁력은 “인프라 확충과 비용절감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