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가기간철도의 스마트화를 위해 국가철도공단(이하 공단)과 AI, 디지털 트윈 네트워크(DTN), 5G/6G 등 첨단 ICT 기술에 대한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철도와 통신은 물류관리 및 서비스라는 공통점이 있어 이번 협력은 철도의 ICT 첨단기술 적용은 양 기관 간 기술진화, 빠른실증, 조기상용화 등 의미가 크다.
양 기관은 이번 협력으로 공단이 추진하는 철도정보통신망의 고도화와 ETRI의 디지털 트윈 네트워크(DTN) 기술의 실질적인 접목을 위해 철도정보통신망 데이터의 공유와 실증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디지털 트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의 모든 구성 요소와 동작을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 다양한 시나리오에서의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양 기관은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철도시스템의 지능화, 자동화, 자율화, 무인화 등 진화 로드맵 마련 ▲디지털 트윈 기반 자율철도망 실현을 위한 데이터 공유 및 차세대 철도통신 네트워크 실증사업 ▲스마트 철도역사시스템의 고도화 및 확대 구축 방안 마련 ▲차세대 이동통신, 디지털 트윈, AI 기술 기반의 차세대 철도관제시스템 상용화 방안 마련 ▲국내 철도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융합형 국가 과제 발굴을 추진키로 했다.
국가철도공단은 시속 400km 이상의 고속철도 기술, 스마트 철도 기술, 3차원 스마트 건설 기술 등 미래형 철도인프라 관리체계의 확립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수행과 K-철도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ETRI 입체통신연구소도 정보통신망 초고속 데이터 전달 기술, 실시간장애복구 기술, 실시간 철도망제어를 위한 초저지연 통신 기술, 정보통신망 장애 및 운용자동화 등 정보통신망 고도화 관련 다수의 R&D 수행 및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주기적인 기술 교류로 철도와 통신의 공진화를 위한 로드맵을 공동으로 마련하고 현장 데이터의 실질적인 공유와 첨단도전기술의 공동 실증을 협력할 예정이다.
국가철도공단 이성해 이사장은 “최신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되고 디지털트윈이 도입되면 철도의 안전과 혁신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을 위한 철도서비스 고도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입체통신기술 및 디지털 트윈 네트워크 기술을 국내철도망에 적용을 시작으로 해외 철도망의 PMO 비즈니스 확대뿐만 아니라 정보통신망 지능화 기술 수출의 교두보 마련을 기대한다.”리고 밝혔다.
관련기사
- ETRI, 'AI네트워크 포럼' 개최...국제표준화 목표
- ETRI, 한국어 기반 '소형 생성 언어모델' 개발...크기는 줄고 성능은 높아
- ETRI-KAERI, 글로벌 R&D 협력 강화
- ETRI, ‘자율·협업형 데이터 허브기술’ 개발...개방형 데이터 거버넌스 기반 데이터 생태계 구축
- ETRI, 청각장애인용 의료 수어 통역 키오스크 공개
- ETRI, 에너지 밀도 20% 높인 이차전지 개발
- ETRI, 국제 AI 대회서 ‘자기지도학습 모델’ 이미지 분석 1위
- ETRI, ‘제2회 ETRI 연구원 창업기업 패밀리데이’ 개최
- ETRI, 국제표준화 기구 의장 6석 확보 성과
- ETRI, 비전문가도 SW 개발할 수 있는 '노코드 기계학습 개발도구' 공개
- 무안경 3D 입체영상 공간 컴퓨팅 기술...몰입감 높아 메타버스 서비스 활성화 기대
- ETRI, 숲속 실종자 찾는 드론 자율비행 기술 개발...실시간 3D 공간 시각화
- ETRI, 산업 시설 안전 관리 자동화 AI 로봇 개발...로봇 간 협업 가능
- ETRI, CCTV로 불법 현수막 찾아내는 AI 기술 개발
- ETRI, 차세대 식물·전자공합 융합 기술 공개
- [CES 2025] 3D 매핑 “데이터 손실·호환성·비용·시간 문제” 해결한 ‘국산 지리공간 AI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