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기반 AI는 기존 AI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 덕분에 주목받고 있다. 투명성, 신뢰성, 실질적 통찰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며, 헬스케어, 금융, 공급망 관리 등 주요 산업에서 원인 기반 AI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원인 기반 AI는 기업이 데이터 중심 세계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돕는 필수 도구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밝혀 더 나은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고객 행동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거나, 마케팅 전략을 개선하거나, 운영 선택의 결과를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또한, 데이터 접근성 향상, 컴퓨팅 능력의 발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모든 규모의 조직이 원인 기반 AI 솔루션을 쉽게 채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이 발표한 ‘글로벌 원인 기반 AI(Causal AI)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장은 2024년 562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CAGR) 41.8%를 기록하며 2030년 4억 5680만 달러로 급격히 확장될 전망이다.

원인 추론 도구, 시장 내 가장 빠른 성장세 기록
원인 추론 도구는 원인과 결과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도구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마케팅, 헬스케어, 운영 등에서 활용된다. 기존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한 AI의 한계를 극복하며, 마케팅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거나 환자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등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통찰력을 제공한다.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덕분에 비전문가도 복잡한 원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어, 책임성과 투명성을 요구하는 조직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다.
금융 산업, 원인 기반 AI 도입으로 시장 최대 규모 기록
금융, 은행, 보험(BFSI) 분야는 명확성, 리스크 관리, 실질적 정보 요구에 따라 원인 기반 AI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JPMorgan Chase는 고객 이탈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 고객 유지 전략을 강화하며, Citibank는 신용 리스크 전략을 평가해 대출 승인 절차를 개선하고 부도를 줄이고 있다. Allstate와 같은 보험사는 원인 기반 AI를 활용해 사기 행위를 감지하고 10% 이상의 사기 발생 감소를 기록했다. 또한, HSBC는 AML(자금세탁방지) 법률 준수를 위해 원인 기반 AI를 활용해 데이터 내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조사 과정을 단순화하고 있다. 이처럼 원인 기반 AI는 수익성 향상과 규제 준수를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아태지역, 가장 빠르게 성장
아시아 태평양(APAC) 지역은 책임 있는 AI 활용을 위한 투자 증가와 함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 일본, 인도 등 주요 국가의 정부와 기업은 AI 혁신을 촉진하고 원인 기반 AI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의 병원은 치료 계획 개선을 위해 원인 기반 AI를 사용해 환자 결과를 크게 향상시키고 있으며, 인도의 은행은 사기 탐지를 개선해 거래 사기를 대폭 줄이고 있다. 또한, 베트남과 태국의 제조업 허브는 공급망 중단을 예측하고 완화하기 위해 원인 기반 AI를 채택하고 있다. 이 지역의 규제 환경 또한 투명성과 공정성을 강조하며 시장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기업
원인 기반 AI 시장의 주요 기업으로는 IBM, 로질리티(Logility), 커서렌즈(CausaLens), 애이셔(Aitia), 커셀리(Causely), 제미노스(Geminos), 데이터 포엠(Data Poem), 커서AI(CausaAI, 라이프사이트(Lifesight), 액터블AI(Actable ) 등 중소기업과 다양한 스타트업이 이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 몽고DB-마이크로소프트, AI·데이터 분석 및 ‘애저 아크’ 지원 협력
-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원격진료’ 판도 바꾼다
- 엔비디아, 기업 맞춤형 AI 개발 지원 ‘NIM 에이전트 블루프린트’ 출시
- 전 세계 암호화폐 앱 사용량 '133% 폭증'...디지털 자산 급부상
- 마이크로소프트, AI 활용 능력 강화하는 'AI 스킬 내비게이터' 공개
- 톰슨로이터, 생성AI 법률 어시스턴트 ‘코카운슬’ 국내 출시
- AI로 데이터 품질 관리 자동화한 '데이터 신뢰 플랫폼'...효율성↑·비용↓
- 생성AI에 의한 송장 사기 급증
- 법률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는 5대 전략
- ‘고객 행동 분석’ 맞춤형 금융 서비스...고객 경험·수익 극대화
- 신약 개발 단축하는 ‘AI 의사결정 플랫폼’...인간 전문가 검토로 정확성↑비용↓
- 자금세탁방지에 AI 도입 주저, “예산과 규제 의무 부족 때문”
- “AI API, 연평균 32.2% 쾌속 성장”...‘AI 자동화·생성AI·사전 훈련 모델’ 수요 증가가 견인
- ‘에지 AI SW 시장’ 연평균 24.4% 급성장...실시간 데이터 처리·의사결정 지원 수요 급증
- 공급망 예측 AI 인텔리전스...선제적 위험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