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코드 품질과 개발 속도를 높이면서도 팀 생산성을 유지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기존의 수작업 기반 코드 리뷰 및 프로젝트 관리 방식은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엔지니어링 팀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AI와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는 필수적인 변화로 자리 잡고 있다.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 자동화 플랫폼 기업 리니어비(LinearB)가 AI 기반 워크플로 자동화, 예측 분석, 개발자 경험 개선을 포함한 플랫폼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코드 리뷰 자동화와 AI 기반 프로젝트 예측 기능 강화
이번 업데이트로 AI를 활용한 PR 설명 자동화 기능을 도입됐다. 이 기능은 AI가 코드 변경 사항을 분석해 PR 설명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개발자는 수작업 없이 코드 변경 내용을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드 리뷰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개발자들이 중요한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AskAI 플러그인이 새롭게 출시됐다. 이 오픈소스 확장 기능을 활용하면 개발팀이 자체적으로 GPT 서비스를 PR 워크플로우에 통합할 수 있다.
개선된 ‘프로젝트 예측’ 기능은 몬테카를로(Monte Carlo) 예측 모델과 동적·세분화된 프로젝트 범위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면, 확률 분포 곡선, 표준 막대 그래프, 캘린더 뷰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젝트 완료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일정 지연을 사전에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리니어비는 이번 업데이트에서 개발자 경험과 생산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개발자 코칭 대시보드’를 새롭게 도입했다. 이 대시보드에는 ‘지식 영역 추적(Knowledge Area Tracking)’, ‘코드 언어 분포(Coding Language Distribution)’, ‘개발자 경험 지표(Developer Experience Metrics)’가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AI 기반 자동화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코드 리뷰, 프로젝트 일정 예측, 개발자 생산성 관리를 AI가 지원하면서, 엔지니어링 팀의 업무 효율성이 향상되고, 프로젝트 성공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은 AI 기반 자동화 기능을 적극 도입해 효율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리니어B의 CEO 겸 공동 창립자인 오리 케런(Ori Keren)은 "AI, 봇 자동화, 하이브리드 인력의 변화 속에서 개발팀이 워크플로를 최적화하고, 규정 준수를 강화하며, 팀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제어력을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엔비디아 NIM·NeMo로 ‘AI·개발 프로세스 통합’...SW 개발 속도 단축
- ‘AI 기반 블루프린트·자동화’로 SW 개발 능률 높이는 ‘벨바 엔지니어’
- “AI, SW 개발의 양날의 검”...디버깅·보안·거버넌스 딜레마
- KOSTA, 국비지원 ‘취업 연계형 SW 개발자 양성 과정’ 교육생 모집
- 오픈소스 프로젝트 오류 자동 수정 제안 서비스...SW 개발 시간·비용↓
- SW 개발 SaaS 도구, 의존도 높은 만큼 문제점도 많아
- SW 개발 워크플로 간소화·최적화하는 “패스트닷엔지니어”...협업과 워크플로 혁신·시장 출시 단축
- ‘깃랩 듀오·아마존 Q’ 결합한 ‘통합 AI 솔루션’…SW 개발 생산성·보안 및 규정준수 강화
- SW 개발 솔루션 'Qt 프레임워크' 장기 지원 정책 5년으로 연장
- ETRI, 비전문가도 SW 개발할 수 있는 '노코드 기계학습 개발도구' 공개
- 현대오토에버 대화형 생성AI 'H Chat' SW 개발과 업무 활용에도 OK
- 아나로그디바이스, 지능형 에지 개발 간소화 임베디드 SW 개발 환경 ‘코드퓨전 스튜디오’ 발표
- SW 개발 시 ‘LCNC 플랫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엔터프라이즈 5.0 시대, 실패하지 않는 AI 스타트업의 성장 전략
- AI·데이터 기반 ‘통합 프로젝트 관리 솔루션’...비즈니스 인텔리전스·협업 통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