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로봇 기술이 국가 산업 전반을 변화시키는 중심축으로 떠오르며, 유럽과 인접한 북아프리카 지역이 새로운 인프라 허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유럽과 불과 15km 떨어진 지정학적 이점을 지닌 모로코는 자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는 동시에, 유럽 시장을 겨냥한 주권형 컴퓨팅 거점으로 도약하고자 한다.
글로벌 투자 컨소시엄 넥서스코어시스템즈(Nexus Core Systems)가 모로코에 차세대 AI 컴퓨팅과 재생에너지를 결합한 ‘AI 팩토리’ 건설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네이버클라우드(NAVER Cloud), 로이즈캐피탈(Lloyds Capital), 통신사 마록텔레콤(Maroc Telecom)이 공동 참여하며, 모로코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기업 TAQA 모로코와의 전략적 협약을 통해 최대 500MW의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40MW 규모 슈퍼컴퓨터부터 가동
AI 팩토리는 TAQA 모로코로부터 500MW까지 공급 가능한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을 확보해 친환경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실현할 계획이다. AI 팩토리의 1단계는 2026년 1분기부터 가동되며, 총 40MW 규모의 차세대 AI 가속기를 탑재해 대규모 모델 훈련에 최적화된 슈퍼컴퓨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인프라는 대기업과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고성능 AI 연산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듈형 설계를 기반으로 신속한 구축과 확장이 가능하다. 현장 시공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유지보수 효율성도 확보한다.
AI 컴퓨팅 플랫폼, 보안·규제·데이터 주권까지 고려한 설계
네이버 클라우드는 넥서스 코어 시스템즈 및 로이드 캐피털과 협력해, 안전하고 독립적인 AI 컴퓨팅 접근을 제공하는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 해당 플랫폼은 제로 트러스트 보안 아키텍처와 지역 내 데이터 상주 제어 기능을 포함해 EMEA 전역의 데이터 주권 및 규제 요구사항에 부합한다.
네이버는 클로바 AI 제품군을 포함해 자체 보유한 AI 기술을 통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 및 민간 고객을 대상으로 생성AI, 고성능 데이터 처리, 자율 학습 기능을 포함한 차세대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플랫폼은 유럽 및 중동 시장의 까다로운 데이터 관리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AI 인프라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 아키텍처는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설계 원칙에 따라 주요 생태계 파트너들과 공동 개발되며, 확장성·상호운용성·보안성을 모두 갖춘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마록 텔레콤의 유통 전략과 AI 생태계 파급 효과
마록 텔레콤은 이 프로젝트에서 모로코 정부 및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상업 유통 채널을 주도하게 된다. 이 회사는 넥서스 인프라와 네이버의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화이트 라벨 플랫폼을 활용해, 국가 차원의 AI 도입을 지원하고 모로코의 디지털 혁신 계획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이 파트너십은 생성AI 기반 모델 학습, 멀티모달 추론, 로보틱스, 자율 학습, 고성능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AI 활용 사례를 현지에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넥서스의 인프라와 네이버의 기술이 결합되며, 지역 전체의 엔터프라이즈 AI 도입 확대와 새로운 활용 사례 개발이 기대된다.
네이버 전략사업부 채선주(Chae Seon Ju) 사장은 “이번 협업은 네이버의 클라우드와 AI 기술이 일본, 동남아, 중동을 넘어 유럽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글로벌 AI 밸류체인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넥서스코어시스템즈 크리스토퍼 요시다(Christopher Yoshida) 대표는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EMEA 전역의 AI 생태계 발전을 가속화하고, 모로코를 주권형 AI 허브로 부상시키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트렌드마이크로-엔비디아, 사이버트론 기반 AI 팩토리 보안 전략 발표
- HPE-엔비디아, AI 팩토리 포트폴리오 강화
- 광속 AI 팩토리 운영 블랙웰 인프라 관리 자동화 플랫폼 ‘엔비디아 미션 컨트롤’
- LG CNS-델 테크놀로지스, AI 인프라 사업 협력 강화
- AI PoC 탑재 ‘클라우드 플랫폼’, AI 팩토리 공정 최적화
- 에이맥스, AI 팩토리 ‘온프레미스’ 전환 지원
- 디지털 전쟁의 확산, 규정 중심 사이버보안 플랫폼 주목
- “AI 데이터센터 전력, 2035년 30배 증가 전망”...기술·규제 혁신과 산업 간 협력으로 대응
- 한국퀀텀컴퓨팅, 고성능 AI GPUaaS로 본격 AI 인프라 시장 진출
- 완전 자율형 QA 플랫폼...테스트 자동화에서 자율화로 전환
- LS일렉트릭-네이버클라우드, AI 전력·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강화
- 제조 현장 품질향상·운영효율 강화하는‘AI 팩토리’...에이전틱 AI 생태계 확산세
- 인텔, 차세대 AI 추론용 GPU ‘크레센트 아일랜드’ 공개...데이터센터 효율성·확장성 강화
- 메가존클라우드, AI·SW 기업, 중동 진출 교두보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