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투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 비즈니스 가치와 연결되는 명확한 수익(Return on Investment, ROI)을 도출하는 것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다. AI 프로젝트가 증가함에 따라, 기술 자체보다 사업성과를 입증하는 체계적 접근 방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조직의 자원은 제한돼 있으므로 수많은 AI 기술 중 우선순위를 정확히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개선 조치까지 제시하는 프레임워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AI·애널리틱스 전문 기업 C5i가 엔터프라이즈 AI 투자 효과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AI 임팩트 모델(AI Impact Model)’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5대 가치 레버 기반 AI 투자 분석 프레임워크
AI 임팩트 모델은 생성AI와 에이전틱 AI를 포함한 다양한 AI가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조직의 생산성·혁신력·성장에 기여하는 최적의 투자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이 모델은 조직의 AI 프로젝트에 대해 ▲문제 정의 ▲데이터 ▲기술 ▲인재 ▲실행력 등 5개의 핵심 요인을 ‘AI 가치 레버(AI value levers)’로 정의하고, 이들의 세부 변수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사업적 영향을 예측한다. 실제 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의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투자 시나리오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업이 AI 투자로 기대할 수 있는 수익성과 성과 개선 여지를 도출한다.

또한, 데이터 기반 접근 방식으로 단일 프로젝트뿐 아니라 복수 프로젝트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경쟁적인 투자 옵션에 대해 전략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단순한 우선순위 결정에 그치지 않고, 가치 레버 중 특정 요소의 개선이 전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AI 실행 전략 고도화에 기여한다.
레노버, 전사적 AI 투자 최적화에 적용
글로벌 테크 기업 레노버(Lenovo)는 AI 프로젝트에 AI 임팩트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레노버 아짓 시바다산(Ajit Sivadasan) 전자상거래 총괄 사장은 “다양한 AI 기회 중 무엇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 결정할 때 AI 임팩트 모델은 매우 유용한 도구다.”라고 말했다.
이 모델은 포춘 500대 기업과의 파일럿을 통해 검증됐으며, 향후 켈로그 경영대학원(Kellogg School of Management)의 온라인 AI 전략 과정에서 강의 콘텐츠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AI 비용 36% 증가했지만 ROI는 여전히 불확실...비용 추적 기술 중요
- 생성AI ROI 평가 및 위험 거버넌스 관리 솔루션...ROI 극대화·위험 최소화
- 모든 AI 에이전트 중앙 통합관리하는 ‘워크데이 에이전트 시스템 오브 레코드’...운영효율·비용절감·보안성↑
- AI ROI 극대화, ‘프로세스 인텔리전스’로 해결
- “기업 AI ROI 달성에 비용 효율 높은 엔드 투 엔드 AI 인프라 지원하겠다”
- “2024년 기업 AI투자, 긍정적 47%, 손익분기점 넘긴 33%”
- 레노버, IDC 마켓스케이프 ‘하이브리드 IT 인프라 컨설팅 및 통합 서비스’ 부문 주요 업체 선정
- W&B-LG CNS, 생성AI 비즈니스 적용 및 ROI 극대화 전략 공유
- 레노버, AI·원격 업무 최적화한 최신 씽크스테이션·워크스테이션 출시
- 투자 유치 성공율 높이는 ‘AI 기반 투자 유치 평가 플랫폼’
- 기업 리더십 강화 핵심, ESG 기반 지속가능성
- 한국레노버, 3D와 AI 창작 혁신하는 고성능 노트북 ‘리전 9i’ 국내 출시
- 레노버, 가트너 '아시아태평양 공급망 선도기업' 4년 연속 1위
- 레노버, 지속가능성·ROI 동시 실현 ‘모듈 DaaS’ 출시...탄소 감축 및 비용 절감 지원
- 이재명 정부, 2026년 역대 최대 35.3조 연구개발 예산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