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스타트업 크로스허브가 지난 7월 22일 라오스 디지털 솔루션 공급업체 TB 테크(TB Tech)와 120만 달러 규모의 신원인증 솔루션 ‘ID블록(IDBlock)’ 수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크로스허브와 라오스 TB 테크의 업무협약식
크로스허브와 라오스 TB 테크의 업무협약식

이번 협약은 라오스 정부가 추진 중인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 수요에 대응해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신원인증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한 협력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TB 테크는 이번 협약으로 현지 공공 플랫폼과 행정 서비스에 ID블록 기술을 도입하고, 나아가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 인접 국가로의 서비스 확장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TB 테크 대표 케오봉사 케오우도네(Keovongsa Keooudone)는 "크로스허브의 신원인증과 간편결제 기술이 라오스 디지털 행정 인프라에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향후 B페이(B·Pay) 도입으로 라오스 관광산업의 핀테크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크로스허브가 개발한 ID블록은 여권 기반 실명 정보를 안전하게 검증하고, 사용자가 동의한 정보만 제공하는 영지식증명(ZKP) 기반 하이브리드 신원인증 시스템이다. 인증과 정보 공유를 분리해 개인정보 보호와 기관 간 연계성을 동시에 달성한다. API 형태로 제공돼 다양한 앱과 서비스에 연동할 수 있으며, 신분증 없는 환경에서도 디지털 신원확인을 지원한다.

ID블록과 연동되는 B페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국에서 사용하던 간편결제를 해외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인증과 결제를 통합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 이 솔루션은 외국인 이용자에게 통합 경험을 제공하고 국제 간 간편결제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박정희 크로스허브 부사장은 이번 협약이 현지 수요 기반 PoC를 거친 실효성 있는 성과라며, TB 테크와 협력해 라오스와 동남아 시장 전반에서 실질적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크로스허브는 이번 협약 외에도 베트남, 싱가포르 등과의 PoC 및 수출 협의를 진행 중이며, 연내 북미와 동유럽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