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는 2027년부터 탄소중립과 자원순환을 위해 전기차 배터리부터 전자기기·의류까지 제품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기록·공유하는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의무화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배터리 생산·운행·재활용 전 과정의 투명한 이력 관리와 국제 표준 대응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웹3 인에이블러 파라메타(PARAMETA, 구 아이콘루프, 대표 김종협)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의 핵심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7년부터 EU에서 시행 예정인 디지털제품여권(DPP: Digital Product Passport)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부터 운행, 충전, 정비, 재사용, 재활용까지 전 생애주기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관리해 신뢰 가능한 이력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DPP 대응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수요기관은 부산광역시, 주관사는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기업 피엠그로우, 파라메타는 블록체인 전반의 기술을 맡는다.

MyID 2.0과 데이터스페이스 기술 적용

배터리 여권 플랫폼은 전기차 배터리에 여권을 부여하듯 고유 이력을 디지털 인증서 형태로 저장하고, 다양한 산업 주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이번 사업의 핵심은 ‘데이터스페이스’ 구현이다. 데이터스페이스는 생산자와 소비자, 제조사와 수요처 간 신뢰 기반의 데이터 공유·거래가 가능한 분산형 데이터 환경으로, EU가 가이아엑스(GAIA-X), 카테나엑스(Catena-X) 등을 통해 추진하고 있는 개념이다.

파라메타는 자사 블록체인 코어 기술을 바탕으로 DID(탈중앙화 신원인증)과 PDS(개인 데이터 저장소)를 접목해 참여자의 신원과 데이터 주권을 모두 보장할 수 있는 한국형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한, 이번 사업에는 파라메타가 개발한 공공용 블록체인 인프라 ‘MyID 2.0’이 최초로 적용된다. MyID 2.0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공공기관 블록체인 공동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개발된 공공기관 전용 블록체인 인프라로, 별도의 전담 인력 없이 운영 가능한 SaaS 구조를 갖추고 있다. CSAP 인증을 기반으로 공공기관에서도 안전하게 활용 가능하며, 기존 대비 최대 90%의 구축 비용 절감, 1주일 이내 서비스 개시, 지속적인 보안 업데이트 등 공공기관의 블록체인 도입 장벽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부산시·민간기업 협력 통한 실사용 기반 확충

이 사업을 위해 부산시는 충전소, 주차장, 도시공사 등 49개 수요처 및 15개 민간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데이터 확보와 플랫폼 실사용 기반을 조성했다.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해 EU 수출을 준비하고 국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는 대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파라메타 김종협 대표는 “이번 사업은 EU 수출을 준비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실질적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스페이스를 통해 민간과 공공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

파라메타가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
파라메타가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참여기업으로 선정됐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