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매일 발생하는 데이터 유출 사고는 기업의 이메일 계정, 도메인, 로그인 자격 증명 정보를 빠르게 노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유출은 공격자에 의해 악용되기 전에 대응하지 못하면 계정 탈취, 랜섬웨어 감염, 계정 인수 등 심각한 피해로 이어진다.
많은 보안팀은 몸값 요구나 위협 인텔리전스 보고서를 통해서야 사고 발생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보안 스택이 잘 갖춰져 있어도 자격 증명 노출의 조기 인지가 어려워 사전 차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노출 여부를 감지하고 경고하는 솔루션이 시급하다.
오픈소스 침해 탐지 플랫폼 엑스온플러스(xonPlus)는 공격자가 정보를 활용하기 전에 보안팀이 자격 증명 노출을 탐지할 수 있는 ‘실시간 디지털 위험 경고 시스템’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데이터 유출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시스템에 알림을 제공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서비스는 오픈소스 침해 탐지 도구 엑스포즈드오어낫(XposedOrNot) 개발팀이 8년간 100억 건 이상의 침해 기록을 추적하고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건의 쿼리를 처리한 인텔리전스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다.

다크 웹 포럼이나 데이터 덤프에 노출 즉시 알림
엑스온플러스는 조직의 이메일 주소나 도메인이 다크 웹 포럼이나 데이터 덤프에 노출될 경우 즉시 가시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와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안전한 인프라에서 실행되며, 엔터프라이즈급 보안과 성능을 지원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실시간 침해 탐지, 노출 출처와 날짜 및 후속 조치 안내 알림, SIEM·슬랙·마이크로소프트 팀즈·이메일 등 기존 보안 시스템과의 통합, API 기반 개발자 지원, 무제한 도메인과 수백만 개 이메일 주소 모니터링이 있다.
엑스온플러스는 단순한 탐지 기능뿐 아니라 보안팀의 업무 프로세스와 통합되도록 설계됐다. SIEM과 슬랙, 팀즈와 연동해 실시간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으며, 엑스온엔터프라이즈(xonEnterprise)를 통해 도메인 전체를 모니터링하고, 엑스온컨슈머(xonConsumer)를 통해 고객 침해 알림을 지원하며, xonAPI는 보안 도구에 인텔리전스를 직접 내장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기존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은 장기 계약과 복잡한 설정이 필요하고 비용이 높았으나, 엑스온플러스는 월 단위 요금제 기반으로 간소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5배에서 10배까지 비용 효율적인 모델을 통해 침해 탐지만을 전문적으로 수행해 기존 보안 스택을 보완한다. SOC 운영이 어려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보안 탐지 기능을 통합하려는 개발자, 계정 인수 방지와 랜섬웨어 대응을 강화하려는 위험 관리팀에 적합한 구조다.
엑스온플러스 창립자 데바난드 프렘쿠마르(Devanand Premkumar)는 “많은 팀이 훌륭한 보안 스택을 갖추고 있었지만, 자격 증명이 노출된 사실을 너무 늦게 알게 된다는 이야기를 들어왔다”며 “엑스온플러스는 공격자가 내부에 접근하기 전에 몇 분 만에 경고를 제공함으로써 보안팀에 조기 경고 신호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SaaS 기반으로 제공되는 이 플랫폼은 월 단위 구독으로 이용 가능하며, 보안팀이 탐지 시간을 몇 주에서 몇 분으로 단축해 공격자의 접근 전에 손상된 계정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기업 보안 역량 강화와 자격 증명 보호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 에이전트 기반 AI 데이터 유출 방지하는 ‘통합 API 보안 솔루션’
- 클라우드 데이터 보안 시장, AI 기반 데이터 보호 기술 확산으로 급성장
- 기업 AI 도입 79%·AI 보안 전략 6%로 격차 심화...보안 현대화 시급
- 제로 트러스트 기반 ‘특권 접근 관리 PAM’, 기업 보안 강화 핵심으로 부상
- 복잡한 ‘머신 ID 통합 관리’로 기업 인프라 보안 강화...제로 트러스트 최적화
- 맬웨어바이츠, AI 기반 이메일 보안 통합으로 다양한 위협에 정밀 대응
- 딥페이크·AI 사칭 대응, 기업·공공용 실시간 AI 신원 검증 플랫폼
- 오픈소스 RAT 맬웨어 기승...에이싱크RAT 변종 증가로 탐지 어려움 가중
- 신원 위협 대응 실시간 인력 검증 기술...채용 사기 원천 차단
- 생성AI 자동화 보안, 제로 트러스트 기반 통합 프레임워크로 대응
- AI 보안 예산이 클라우드 보안 전략 재편 주도
- 감쪽같은 딥페이크 AI 범죄 급증...기업 보안 전략 재정비 시급
- 챗GPT 사칭한 사이버 위협 115% 폭증
- 비디오 불법 복제 탐지 엔진, 12개월간 25만 건 차단
- AI 에이전트 보안 위협 부상...민감 데이터 접근·가시성 부족 우려 커져
- 신종 공격 클릭픽스, 500% 이상 급증...인포스틸러·랜섬웨어·모바일 맬웨어 정교화
- MSP 보안 강화하는 ‘AI 신원 위협 탐지·대응’ 기능
- 모바일 뱅킹 악성코드 자누비스, APK 위장 통한 자격 증명 탈취
- ID·기기 인증 통합 보안 플랫폼...전방위 제로 트러스트 구현
- 사이버 위험관리 적신호, “AI 확산·가시성 부족·제3자 위험관리 미흡”...자동화와 지속 모니터링 필수
- "랜섬웨어 몸값 금지, 원칙과 현실의 간극"
- “랜섬웨어, 단순 공격 넘어 기업 생존 위협...복원력 강화 시급”
- 실시간 대응 AI 운영 인텔리전스...선제적 방어로 기업 보안 강화
- 고도화된 랜섬웨어 위협, 국제 공조와 대응 기술로 차단
-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실전 적용법 공유... 스텔스모어 제품 워크샵 개최
- 랜섬웨어 재공격 급증...기업 보안 분산이 주요 원인
- 복잡한 보안 인텔리전스, 대화형 프롬프트로 해결
- 기업 랜섬웨어 피해 급증...KISA, NAS·그룹웨어 보안 강화 4대 수칙 발표
- 공격 탐지부터 대응까지 전 과정 자동화·가속화 ‘위협 인텔리전스’...속도·정확도↑
- 실시간 탐지·자동 대응 차세대 SIEM, 기업 보안 선제 대응·운영 효율↑
- 클라우드플레어, 제로트러스트 기반 AI-SPM으로 섀도 AI와 데이터 유출 차단
- 중소기업 사이버 위협 급증, 다크웹·소셜 미디어 모니터링이 해답
- 클라우드플레어, AI 크롤러 차단 기술로 독립 언론·비영리 단체 보호 강화
- 모든 클라우드에서 더 빠르고 안전하게...클라우드플레어-오라클 통합으로 AI 운영 효율 극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