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생성AI 시장이 글로벌 중심의 대형 파운데이션 모델에 집중된 가운데, 정부는 자체 LLM 개발과 응용 서비스를 확대하는 독자 AI 생태계 조성에 본격 착수했다. 특히 민관 협력 기반의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이 주요 AI 기업들의 참여 속에 시작되며, 국내 기술 자립과 서비스 대중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AI 서비스 전문기업 이스트소프트(대표 정상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LG AI연구원 컨소시엄으로 자회사 이스트에이드와 함께 참여해 5개 정예팀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가 차원의 초거대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전략적 프로젝트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선발된 5개 정예팀은 기술력과 사업화를 겸비한 국내 AI 그룹으로, 이스트소프트는 이스트에이드와 함께 자체 초거대언어모델 ‘앨런 LLM’에 기반한 AI 서비스화 역량으로 LG AI연구원 컨소시엄으로 참여해 정예팀에 합류했다.

이번 컨소시엄에서 양사는 AI 검색, AI 브라우저, AI 휴먼 등 각사의 역량을 활용해 전 국민 AX 라이프사이클 생태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맡는다. 

한편 양사는 최근 포털 줌(zum)에 초거대언어모델 ‘앨런LLM’과 이스트에이드의 검색 서비스 역량을 기반으로 AI 검색을 전면 적용했다. 또한 이스트소프트는 앨런 LLM에 기반해 AI 검색 및 에이전틱 AI 구축, AI 휴먼과 연동한 AI 키오스크 등 상용 서비스를 국내 시장에 빠르게 선보였다. 이스트에이드 역시 개방형 AI 포털로 다양한 AI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

이스트소프트는 이번 사업을 기점으로 LLM 기술과 실전형 AI 서비스의 접점을 더 확대하고, 향후 정부와 민간의 다양한 활용 시나리오에 최적화된 응용모델 및 서비스 솔루션 개발에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 

이스트소프트 정상원 대표는 “독자 인공 지능 기초 모형 사업에 정예팀으로 선정된 것은 자체 기술력과 상용화 역량을 동시에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 실전형 AI 서비스를 바탕으로, 국내 AI 산업 발전은 물론 AI 서비스 대중화를 선도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