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빌딩 운영 환경은 에너지 비용의 급등, ESG 규제 강화, 전문 인력 부족 등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 특히 건물은 전 세계 탄소 배출의 약 37%를 차지하는 만큼, 효율적인 운영 관리 없이는 탈탄소 및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이 어렵다. 이에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예측적 유지보수, 자동화된 설비 제어,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을 동시에 고려한 시스템이 중요하다.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지사장 권지웅)이 빌딩 관리 시스템(BMS) 소프트웨어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EcoStruxure Building Operation) 7.0’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버전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과 운영 효율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과 지속가능성을 높인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빌딩 관리 플랫폼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 7.0’을 출시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빌딩 관리 플랫폼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 7.0’을 출시했다.

운영 효율 및 지속가능성 강화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 7.0은 시설 관리자와 건물 소유주, 시스템 통합 파트너에게 직관적이고 유연한 건물 운영 환경을 제공한다. 

우선 건물 내 HVAC(난방·환기·냉방), 조명, 전력, 보안, 출입통제 등 다양한 시스템을 단일 제어 센터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어 운영의 복잡성을 줄이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에너지 사용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실시간 대시보드와 맞춤형 리포트로 시각화해 알람 시스템이 이상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고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설치·갱신 및 보안 강화

새롭게 도입된 3단계 라이선스 모델은 ▲설치·갱신 간소화 ▲보안 강화 등 2가지 측면에서 개선됐다. 

예측 가능한 가격 체계와 함께 소프트웨어 설치 및 갱신 절차를 간소화했다. 기존 수백 개에 달하던 품번을 15개 내외로 축소하고, 클릭 몇 번으로 설치가 완료되는 자동화 방식으로 배포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80%까지 단축시켰다. 별도의 추가 라이선스 없이 언제든 구성 변경 및 갱신이 가능하며, 웹 기반 포털을 통해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자동 갱신 기능을 추가해 소프트웨어와 운영체제가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다중 인증(MFA), 보안되지 않은 장치로의 BACnet 라우팅 차단 기능이 내장돼 IT/OT 융합 환경에서도 신뢰성을 보장한다. 또한 AVEVA PI 연동, OPC UA 프로토콜 확장 등 데이터 처리 지원도 강화됐다.

이번 제품은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공조·조명 자동화 제어, 공간 최적화, 사용자 맞춤 쾌적도 향상 등 다양한 운영 목적에 맞춰 활용할 수 있어, 운영 비용 절감은 물론 녹색 건물 인증 취득과 ESG 목표 달성에도 효과적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마니쉬 쿠마(Manish Kumar) 글로벌 디지털 에너지 사업부 부사장은 “에코스트럭처 빌딩 오퍼레이션 7.0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요구에 대응하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