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AI 세계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약 10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하면서, AI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성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AI 인재 인증 체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가 한국인공지능협회(회장 김현철), 한국디지털인증협회(회장 이기혁)와 함께 ‘AI 인재 인증을 위한 디지털 신원 및 자격증명 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세 기관은 AI 시대를 선도할 인재 양성을 위한 비전을 상호 공유하고, 블록체인 디지털 ID 기술을 활용해 신뢰도 높은 자격 인증 및 인재 관리 체계를 공동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라온시큐어는 DID 기반 디지털 신원·자격 인증 플랫폼 ‘옴니원 디지털아이디(OmniOne Digital ID)’와 블록체인 디지털 자격증명 ‘옴니원 배지(OmniOne Badge)’를 기반으로 AI 인재의 자격 정보 발급, 관리, 검증을 지원한다.
한국인공지능협회는 ‘옴니원 디지털아이디’와 ‘옴니원 배지’를 인재 매칭 센터 사업에 도입하고, 한국디지털인증협회는 오픈 DID(Open DID)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AI 인재 인증 생태계 확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세 기관은 국내외 대학, 산업계, 국제기관 등에서 활용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AI 인재 인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제 호환이 가능한 디지털 신원 인증 체계의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으로 전문성을 갖춘 인재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평가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면서 교육·채용·경력 전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균형 잡힌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신뢰도 높은 인증 체계는 개인이 자신의 역량을 정확히 증명하고, 기관이나 기업은 필요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도록 해 산업과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라온시큐어 김태진 CTO는 “AI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재 확보를 위한 신뢰성 있는 인증 및 검증 체계가 필수적”이라며 “라온시큐어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AI 인재 인증 생태계 조성에 적극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결선 10개팀 발표
- 라온시큐어, 옴니원 플랫폼으로 ‘모바일 장애인등록증 구축’ 사업 수주
- 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AI 해커톤’ 기술설명회 성료
-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서비스 일본서 월이용자수 700만 돌파
- 반려동물 디지털 신분증 시대 열렸다
- 라온시큐어, 2025 정보통신 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
- 한국디지털인증협회, ‘2025 블록체인 AI 해커톤’ 주최…창업 지원금 10억원 기회
- 라온시큐어,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 선정
- 채용 선정 70%↑채용 비용 80%↓ AI 기반 채용 증강 플랫폼 ‘앤’
- 라온시큐어-파이디지털헬스케어, 양자내성암호로 의료 데이터 보안 강화 협력
- 라온시큐어, ‘디지털정부 혁신 유공’ 행안부 장관 표창 수상
- 라온시큐어, 코스타리카 디지털 ID 민간 확산 사업 본격화
- 라온시큐어, PQC 기반 키패드 암호화 특허 취득
- 라온시큐어, 클라우드 통합계정 관리 서비스 ‘옴니원 억세스’ 출시
- 파라메타,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 라온시큐어, 블록체인 민간분야 확산사업 선정…‘소통 3.0 플랫폼’ 개발 착수
- 개인정보 보호·규제 강화 속 ‘분산형 ID’ 급부상, 연평균 65.5% 폭발적 성장
- 라온시큐어, 양자내성암호 기반 가상 키패드 GS인증 1등급 획득
- 라온시큐어, 2025 시큐업&해커톤 개최
- 라온시큐어, 웹3·AI 융합 보안 전략 공개…데이터 주권·초연결 사회 실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