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 보안 체계는 네트워크 침투와 엔드포인트 위협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지만, 브라우저를 통한 공격 벡터는 여전히 취약한 영역으로 남아 있다. 특히 인증된 세션 내에서 발생하는 신원 침해와 데이터 유출은 기존 엔드포인트 탐지·대응(EDR)이나 데이터 유출 방지(DLP) 솔루션에서 가시성이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레드팀은 최신 브라우저 기반 공격을 실험할 도구가 부족하고, 블루팀은 탐지·차단 역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브라우저는 기업 자원 접근, 민감 데이터 처리, 사용자 신원 관리의 핵심 채널인 만큼, 공격과 방어 양 측면에서 전용 시뮬레이션과 방어 체계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브라우저 보안 기업 스퀘어엑스(SquareX)가 보안팀의 레드팀·블루팀 훈련을 지원하는 두 가지 오픈소스 툴킷을 발표했다.
첫 번째 툴킷 ‘앵그리 매그파이(Angry Magpie)’는 데이터 샤딩, 암호화, 트랜스코딩, 스머글링 등 네 가지 유출 기법을 구현해, 클립보드 복사·붙여넣기,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인쇄 등 일반 브라우저 동작을 통해 DLP 우회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한다. 이를 통해 내부 위협이 브라우저 환경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유출 시나리오를 재현하고 대응 절차를 검증할 수 있다.
두 번째 툴킷 ‘카피캣(Copycat)’은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원 및 인증 공격을 시뮬레이션한다. 최소 권한의 확장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탭·스크립팅 권한을 활용해 사용자의 인증 세션을 탈취하거나 계정을 장악하는 시나리오를 구현한다.
툴킷에는 계정 탈취, 신원 정보 유출, 2FA 도용, OAuth 조작 등 10가지 공격 모듈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브라우저 수준에서 인증 흐름이 침해되는 과정을 실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실제로 스캐터리드 스파이더(Scattered Spider), 머들드 리브라(Muddled Libra) 등 위협 그룹이 기업 침해에 활용한 바 있다.
스퀘어엑스는 두 툴킷을 통해 브라우저 탐지·대응(BRRA) 솔루션 분야를 선도하고, 보안 업계 전반에 브라우저 기반 위협 인식과 방어 체계 강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브라우저 보안 서비스 에지 SSE...원격 접속의 복잡성·보안성 해결!
- 브라우저 AI 에이전트, 새로운 보안 취약점으로 부상
- 기업용 AI 기반 ‘무료 브라우저 보안 평가 도구’
- 전체 화면 API 악용 피싱, 브라우저 보안 체계의 허점을 찌르다
- AI 기반 자격 증명 보안으로 인적 위험 대응
- 멘로 시큐리티, 보티로 인수로 AI 기반 데이터 보호 강화
- [Success Story]폭스바겐, 벡터 v플래시 도입으로 ECU 소프트웨어 재작업 방지
- 패스키 보안 취약점, 브라우저 보안이 기업 생존 전략
- 내부 위협 보호, 기업 보안 최우선으로 급부상
- CRM 통합 취약점 노린 OAuth 공격, SaaS 보안 거버넌스 시급
- ERP 내부 위협, 단순 탐지로는 부족...실행 중심 보안으로 기업 신뢰성↑
- 체크포인트, 엔터프라이즈 브라우저로 제로 트러스트 보안 확장
- 소셜미디어로 회사 비밀 유출...Z세대 논란
- 내부자 위협 50% 줄이는 ‘AI-IRM’...자율 대응·데이터 보호 혁신
- 브라우저 확장만으로 모든 기기에 제로 트러스트 적용
- AI 브라우저, OAuth 공격·맬웨어 유포에 취약...“보안 가드레일 시급”
- AI 브라우저 사이드바 위장 ‘스푸핑 확장’ 공격 확산...사용자 신뢰 악용 자격 증명 탈취 경보
- 신원 기반 공격 급증...“침입이 아닌 로그인”이 새 위협 경로, 기업 연 370만 달러 손실
- AI 브라우저의 최후 방어선... ‘자바스크립트 엔진 기반 통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