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범죄 양상은 기존 인력 중심의 치안 대응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AI·로봇·드론 등 첨단 ICT를 활용한 능동형 치안 서비스와 스마트 장비 도입이 차세대 안전망 구축의 핵심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회의원연구단체 국회 AI 포럼(대표의원 이인선, 연구책임의원 조승래)가 오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차세대 AI 기술과 치안 서비스’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는 여야 국회의원 20여 명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해 AI 기술을 활용한 미래 치안 서비스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주제 발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혜숙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이 맡아, ‘국민 안전을 위한 AI 최신 기술 동향과 치안 서비스 연구개발 방향’을 소개한다. 

AI·로봇·드론 기반 차세대 치안 대응 전략

차세대 AI 기술과 치안 서비스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ETRI 박혜숙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자료제공=ETRI)
차세대 AI 기술과 치안 서비스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ETRI 박혜숙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자료제공=ETRI)

발표에서는 최근 급증하는 신종 범죄와 사회적 불안정성에 대응하는 AI·로봇·드론 등 유무인 협업 기반 기술의 치안 현장에 적용하는 전략을 소개한다. 또한  AI 반도체를 탑재한 경찰 장비와 같은 현장 중심의 스마트 치안 구현 방안도 함께 논의된다. 이는 긴급 상황에서 경찰의 대응 속도와 정확성을 높이고 인력 부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한편, ETRI는 이미 2021년 경찰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치안 현장 인력 부족 문제 해결 ▲사회적 약자 보호 ▲국민 체감 안전서비스 확대를 목표로 AI 기반 현장 지능화 연구를 추진해왔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AI 반도체·빅데이터·드론·로봇 등 첨단 ICT 기술을 치안 서비스에 접목하는 전략과 경찰·소방·국방 등 공공 안전 전 분야로의 기술 확산 가능성을 논의한다.

국회 AI 포럼 이인선 국회의원은 “AI 기반 치안 서비스는 경찰력을 보완하고, 위험 지역에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해 국민 신뢰를 높이고 공공 안전을 강화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ETRI 박혜숙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은 “도시화와 인구 밀집으로 치안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신종 범죄와 사이버 범죄의 위협이 날로 커지고 있다.”라며 “AI와 유무인 협업 기술을 활용한 첨단 치안 대응 체계와 안전망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알림] 글로벌 번역 전문 기업 딥엘(DeepL)이 오는 9월 24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GTT SHOW의 GTT Webinar 플랫폼을 통해 ‘대량 데이터 번역 품질을 한 단계 높이는 DeepL API 활용 전략’을 주제로 무료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 웨비나에서는 딥엘 API의 고급 기능과 실제 비즈니스 현장 적용 전략을 구체적으로 다루며,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