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통신은 정보를 빛의 양자 상태로 전송하는 고정밀 기술이지만, 무선으로 이동중인 환경에서는 날씨나 주변 환경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아 통신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하늘이나 바다, 공중처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양자 상태의 안정적인 전달이 매우 어렵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방승찬)이 KAIST(총장 이광형)와 공동 연구를 통해 위성, 선박, 드론처럼 움직이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양자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채널 변화에도 안정적인 양자 통신 가능성 입증

연구진은 양자 상태의 측정 보정이 없이도 안정적으로 양자키분배(QKD)가 가능한 ‘측정 보호(MP)’이론을 정립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양자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인 ETRI 연구진 모습
양자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인 ETRI 연구진 모습

QKD 기술이란,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해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암호 키를 분배하는 기술이다. 기존 QKD 프로토콜은 채널 상태가 바뀔 때마다 수신 측 측정 장치를 반복해서 보정해야만 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간단한 국부 연산만으로도 채널 상태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키 분배가 가능함을 증명했다. 

연구진은 단일광자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 100MHz인 광원, 즉 수직 공진형 표면 발광 레이저(VCSEL)를 활용했다. VCSEL이란, 레이저 빔이 칩의 상단 표면에서 수직으로 방출되는 반도체 레이저의 한 종류이다. 

연구진은 10m 자유공간 구간에 최대 30dB 손실을 적용한 장거리 전송 환경을 구현하고, 다양한 편광 노이즈를 삽입해 무선환경의 장거리 실험을 상정해 열악한 상황에서도 양자의 전송과 측정이 원활하게 됨을 검증했다. 또한 송수신 단에는 각각 3개의 파장판을 장착해 국부 연산을 구현했다.

그 결과, 측정보호(MP) 기반 QKD 시스템은 전송된 양자 비트 중 오류가 발생한 비율을 뜻하는 양자 비트 오류율(QBER)의 시스템 최대 허용치를 기존 대비 20.7%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는 수신된 양자 비트 중 오류가 20.7% 미만이면 별도의 측정 보정 없이 안정적인 양자키분배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로써 측정 보정 없이도 다양한 채널 노이즈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키 생성을 달성해 신뢰성 있는 양자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위성-지상 링크와 유사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향후 위성과 지상 간의 보안 통신, 드론 및 해상 통신 등의 분야에 양자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편광 의존 손실 극복 통한 집적형 QKD 실험 성과 공개

한편, ETRI는 QKD 실용화의 핵심 과제인 ‘편광 의존 손실’ 문제에 대한 실험적 보정 방법도 제시했다. 이 연구는 집적화 칩 기반 QKD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해결해 소형·경량 QKD 장비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집적형 QKD는 기존의 고가·대형 벌크 광학 기반 시스템을 대체할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편광 기반 QKD에서는 집적화 과정에서 편광 의존 손실이 발생해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ETRI 연구진은 간단한 광학 부품으로 이 손실을 보정하고, 편광 기반 QKD 시스템에 적용해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인 키 분배가 가능함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ETRI 양자통신연구실 임경천 기술총괄은 “QKD 시장 확산을 위해 집적화 칩 연구는 필수불가결이며, 편광 의존 손실뿐만 아니라 집적화 칩 기반의 QKD 시스템 구현에 있어 극복해야 할 문제가 많아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ETRI 윤천주 양자기술연구본부장도 “채널 변화에 독립적인 QKD 구현은 양자암호통신의 유연성을 획기적으로 높인다. 장거리 자유공간 링크 기술로 확장해 글로벌 양자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 GTT SHOW는 오는 8월 12일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피해 큰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 악성코드 막는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실전 보안 전략”을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합니다. BPF Door 같은 커널 기반의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공격 기법과 침투 단계별 위협의 소개, EDR과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이 어떻게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침입 초기 탐지부터 내부 확산 차단까지 이어지는 보안 체계의 구축 전략과 새로운 형태의 변종 공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전략을 실전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