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치안 드론의 영상분석 인공지능(AI) 성능 향상은 다중 밀집 지역의 인파 관리와 농수산물 절도 예방 등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 이에 보안성과 정확도를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고도화하기 위한 기관 간 협력이 요구된다. 이번 업무협약은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는 체계적 추진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제주자치경찰위원회), 한국레이더시스템(KRS)은 23일 제주에서 스마트 치안 드론의 AI 성능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세 기관은 영상분석 AI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제품을 고도화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향후 세 기관은 학습데이터 구축 및 제공, 영상분석 AI 성능평가와 기술지원, 인프라 지원과 자료 협력, KISA의 성능 시험 기준을 활용한 제품 고도화에 적극 협력한다. 목적은 스마트 치안 드론의 영상분석 AI 성능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다.
KISA는 인파 관리와 농수산물 절도 예방을 평가 영역에 추가해 AI 성능을 검증한다. 제주자치경찰위원회는 성능이 검증된 우수 드론 제품을 도입할 수 있다. 한국레이더시스템은 KISA로부터 영상 데이터베이스(DB)를 제공받아 스마트 치안 드론의 영상분석 AI 성능을 고도화한다.
오진영 정보보호산업본부장은 “스마트 치안 드론에 탑재된 범죄 대응 인공지능(AI)은 사건·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인공지능(AI)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검증하고 공유해 치안을 강화하고 관련 연구 분야에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실시간 문맥 인식 ‘AI 영상 보안 솔루션’...에지·클라우드 AI로 행동 분석, 사전 예방 및 실시간 대응 강화
- AI 기반 차세대 치안 서비스...유무인 협업으로 국민 안전망 강화
- 방위 UI 개발 속도·비용 효율 높이는 FACE 적합 Qt 프레임워크
- 100% 방수·AI 추적·휴대성 결합한 핸즈프리 항공 카메라 '호버에어 아쿠아'...수상 스포츠 항공 촬영 혁신
- 드론 위협 대응, 사이버와 레이더 결합한 다층 방어로 해결
- 디지털 인프라 구축 핵심 ‘모바일 매핑 시장’...연평균 18.2% 빠른 성장세
- K-드론배송, 전국 생활물류 혁신 본격화
- AI 기반 휴대용 위협 감지 키트로 총기·드론·침입 실시간 탐지
- 건설 산업 차세대 기술 ‘지속가능성·XR·AI·로봇공학 및 드론’
- ‘인간-AI 협업’ 플랫폼으로 드론 스웜 방 무기·보안 솔루션 개발
- KISA-IBK기업은행, 사이버위협 대응·정보 공유 체계 강화 협력
- 하늘을 지키는 AI, 비행 중 드론 공격 실시간 차단 기술 등장
- 한·EU 개인정보 상호 이전 체계 구축...한국인터넷진흥원, 동등성 인정 제도 설명회 개최
- 한·중 개인정보 보호 협력 강화...KISA·중국인터넷협회, 안전한 디지털 신뢰 기반 확대
- 손바닥 이륙·전방위 감지 초경량 드론 ‘DJI 네오 2’
- 한국인터넷진흥원, 선박 사이버보안 내재화 5대 성과 공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