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머신러닝(ML)에서 에지 컴퓨팅과 고급 소프트웨어 정의 아키텍처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기술이 5G의 지속적인 진화를 촉진하고 있다. 현재의 네트워크는 미래의 성공을 위한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하는 동시에 진보된 기능을 위한 강력하고 협업적인 생태계가 필요하다.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선도기업 레드햇과 엔비디아가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업계 표준 서버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배포를 위해 협력을 확대한다고 28일 발표했다.
레드햇 오픈시프트는 프라이빗 데이터 센터에서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 네트워크 엣지에 이르기까지 업계를 선도하는 엔터프라이즈 쿠버네티스 플랫폼이다. 이번 발표로 소프트웨어 정의 5G 가상화 기지국(vRan) 및 엔터프라이즈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엔비디아 컨버지드 가속기와 엔비디아 애리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지원한다.

이제 고객은 컴포저블 인프라에서 에지 컴퓨팅, 프라이빗 5G, AI 등 컴퓨팅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더욱 충족하는 동시에 뛰어난 유연성과 상호운용성으로 위험을 완화하고 투자대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컴포저블 인프라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특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리소스를 간소화하고 활용도를 개선해 기존 IT 환경을 최적화한다. 엔비디아 암페어 GPU(NVIDIA Ampere GPU) 와 엔비디아 블루필드(NVIDIA BlueField-2)를 하나의 고성능 패키지로 결합한 엔비디아 GPU, DPU 및 컨버지드 가속기는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 리소스를 세분화해 패킷을 더 빠르게 처리해 CPU 부하를 덜고 인프라를 많이 차지하는 작업을 분리해 보안을 강화한다.
엔비디아 컨버지드 가속기와 엔비디아 애리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총소유비용(TCO)을 절감하여 RAN과 AI를 대규모로 구축 및 유지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전체 시스템 비용 절감 ▲멀티테넌시와 서비스형 RAN(RAN-as-a-service) 기반을 마련해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에 걸쳐 네트워크 구축 가속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와 결합해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일관성을 향상하여 특수 하드웨어의 필요성을 완화하는 컴포저 인프라 제공 ▲수십억 개의 장치를 연결하고 AI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의 범위를 에지의 모든 장치로 확장 ▲에지에서 AI·ML을 구현해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자율주행, 산업, 농업 등 활용 사례의 폭 확장 등의 장점이 있다.
엔비디아 애리얼은 고성능의 소프트웨어 정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5G RAN 애플리케이션을 대규모로 구축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 레드햇 오픈시프트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외에도 쿠버네티스용 레드햇 어드밴스드 클러스터 매니지먼트와 레드햇 어드밴스드 클러스터 시큐리티는 성능 저하 없이 멀티 클러스터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한다. 서비스 제공업체는 보안과 관리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대용량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데이터양을 충족할 수 있다.
2024년에는 엔드투엔드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제공업체 마베니어가 자사 AI-on-5G 솔루션을 위해 레드햇과 엔비디아 기술을 구현할 예정이다. 이렇게 사전에 패키징된 네트워크 솔루션은 5G 네트워크를 원활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분석 기능을 일원화해 제공한다.
오노레 라보뎃(Honoré LaBourdette) 레드햇 통신, 미디어 및 에지 에코시스템 부사장은 “레드햇 오픈시프트에서 실행되는 엔비디아 GPU와 엔비디아 애리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활용해 기업은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5G 기반 사용 사례를 최대한 활용하고 오픈소스 혁신을 기반으로 에지에서 새로운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로니 바시타(Ronnie Vashita) 엔비디아 통신 부문 수석 부사장은 “5G 및 엣지 컴퓨팅의 증가하는 컴퓨팅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제공 업체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도입은 필수적이다. 기업은 현재와 미래의 사용 사례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인 레드햇 오픈시프트에서 실행되는 엔비디아 컨버지드 가속기의 컴퓨팅 성능으로 5G RAN 또는 AI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2023년은 유망 AI반도체 스타트업에게 변혁의 시기
- 전용 AI칩 탑재 '레노버 리전 프로 7i' 국내 출시...게이밍 환경 최적화
- 엔비디아, AI·XR 전문가 위한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플랫폼 공개
- VR 환경 위한 AI 2D 이미지 3D 변환 도구 '엔비디아 인스턴트 NeRF'
- [CES 2023] 레노버, '디자인혁신·AI 기술' 탑재한 컨슈머 제품 대거 출격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 쌩쌩도는 ARM 기반 서버
- [MWC 2023] 레드햇-삼성전자, 차세대 5G 망 구축·운용 위한 vRAN 솔루션 발표
-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현의 핵심 ‘쿠버네티스’ ②
-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현의 핵심 ‘쿠버네티스’ ①
-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 구글 클라우드 지원
- 전세계 IT 전문가 "보안은 지속적인 최우선 과제"
- 워크로드 고도화·DX 성공위한 HPE 그린레이크 신규 서비스
- 레드햇 국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문가 양성 나선다
- 파트너 에코시스템 강화하는 IBM, 내년 목표는?
- [MWC 2023] 인텔의 미래, vRAN·5G 네트워크·에지 컴퓨팅
- 레드햇, 새로운 파트너 서브스크립션 프로그램으로 파트너와 고객의 성공 돕는다
- 미루웨어, AI에 최적화된 기가바이트 에지 컴퓨팅·서버 선봬
- 복잡한 에지 컴퓨팅 관리, 보안 강화된 스케일 컴퓨팅 플릿 매니저로 해결!
- 자동화 강화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9.2’...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운영 효율성↑
- 싱텔,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통한 5G 기반 MEC 서비스 소개
-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에너지 등 공공 분야 진출
- 쿠버네티스 도입은 급증, 보안에 대한 투자는 '제자리 걸음'
- 에이수스, 생성AI 지원 엔비디아 L40S GPU 탑재 서버 공급 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