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의 글로벌 선도 기업 베리타스코리아는 국내 소비자 44%(글로벌의 경우 49%)가 “기업들이 온라인 상에 저장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정보는 적기에 삭제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국내 응답자 42%(글로벌 47%) 불필요한/원치않는 데이터를 관리하지 않아 의도적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기업에 대해서는 구매를 중단할 의향이 있다고도 답변해, 데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공해에 대해 소비자 행동에 나설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소비자 1만 3000명(국내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기업 데이터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Consumer Sentiment on Enterprise Data Sustainability)'에서 국내 응답자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45%(글로벌 46%)가 전세계 에너지 관련 오염 중 데이터센터가 유발하는 환경오염이 2%라는 점에 우려를 갖고 있었다. 나아가서 응답자 중 62%(전세계 59%)는 온라인 데이터 스토리지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해 기업들이 조금 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용되지 않거나 비활성화된 계정의 폐쇄와 불필요한 정보 삭제 권고 등을 통해 불필요한 데이터의 감축을 제안하고 있다.
IT 분야 결정권자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크리티컬 데이터의 비율을 조사한 별도의 베리타스 연구결과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기업이 저장하는 데이터의 절반은 ROT(중복되거나(Redundant), 오래되거나(Obsolete), 불필요한(Trivial)) 데이터이며 그 외 35%는 가용성이 불분명한 ‘다크’ 데이터로 추정된다. 이번에 진행된 소비자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에 대한 응답자들의 의견을 문의한 결과, 48%(글로벌 51%)가 온라인 데이터 스토리지에 상당량의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공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이 우려된다고 응답했다.
스리니바산은 “잘못된 데이터 관리가 환경에 주는 영향에 대한 부정적 소비자 심리를 과소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평균적으로 기업들에게 꼭 필요한 데이터는 약 15%로, 불필요한 데이터가 핵심적인 데이터보다 많은 공해를 일으키고 있는 역설적인 상황이다. 환경 문제는 소비자들이 한순간에 등을 돌릴 수 있는 민감한 사항이며, 불필요한 데이터의 식별과 제거는 기업과 환경 모두에게 유익하기에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베리타스 알타 플랫폼은 멀티 클라우드 환경 데이터 관리 최적화와 고민 해결사”
- 베리타스, NH투자증권에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 강화 위한 '인포스케일' 공급
- 베리타스코리아, 클라우드 도입 증가 따른 데이터 관리 방안 소개
- 기업 96%가 퍼블릭 클라우드 예산 초과 지출한다
- 온프레미스·클라우드 통합 데이터 관리 플랫폼, '베리타스 알타' 공개
- 데이터센터 소비전력 낮추는 '네트워크 인터커넥트' 솔루션
- 양자 보안 분산형 객체 스토리지 ‘Qloud’...사이버 공격에도 비즈니스 연속성 제공
- 우주 기술로 데이터 센터 에너지 효율 높인다
- 베리타스, 컴플라이언스·거버넌스 부문 강화위해 법무법인 화우와 협력
- 베리타스 클라우드 시장 강화 위한 신규 파트너 채널 프로그램 공개
- 사용 않는 계정 삭제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줄여야
- "랜섬웨어 대응 위해 변경불가 스토리지 포함한 3-2-1+1 백업 전략 필요"
- 설문 조사 작성부터 분석까지 지원하는 AI 도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