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더 많은 조직이 멀티클라우드 환경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아키텍처와 애플리케이션 운영 환경을 갖고 있는 클라우드를 별다른 전략 없이 도입함으로써 '클라우드 카오스' 즉 증가하는 복잡성과 보안, 컴플라이언스 관점에서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VMware의 역할은 바로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조직이 클라우드 카오스 환경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스마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전인호 VMware 코리아 지사장은 6일 4년만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된 VMware의 고객·파트너 대상 행사인 'VMware 익스플로어 코리아(VMware Explore Korea)' 기자간담회에서 멀티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는 조직의 클라우드 스마트로의 여정을 도와, 비용을 최적화하면서 보안과 회복 탄력성을 강화하고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전인호 지사장은 VMware가 전문조사기관인 밴슨 본(Vanson Bourne)에 의뢰한 전 세계 멀티클라우드 현황 조사 결과를 인용해, 한국 기업은 2027년까지 평균 3.78개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팬데믹 이전 평균 1.87개에 비해 2배 가까이 상승한 수치이며, 글로벌 평균인 2.93개나 아태 지역 평균인 3.18개를 상회한다. 팬데믹으로 인해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기업들이 원격 근무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면서 멀티클라우드 도입이 필요에 대한 확신을 갖고 가속화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대부분 국내 기업의 70%는 이미 멀티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글로벌 평균인 64%에 비해 멀티클라우드 운영 환경에 완전히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대다수(80%)는 여러 개의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앱을 구축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국내 기업 중 37%만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완벽하게 수립한 것으로 답했으며, 이는 아태 지역 평균인 38%와 비슷한 수치다. 기업이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지 않는 것은 복잡성, 보안, 비용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더 나은 디지털 경험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하는 데 필요한 가시성과 제어 기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인호 지사장은 “이제 데이터의 생성이나 저장, 보관과 같은 부분은 누구나 하고 있는 일이며, 이제 여기에 신경쓰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이제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정보화하는 것"이라며, "멀티클라우드 환경의 혼돈을 제거하고, 보다 중요한 목표를 향해 나가기 위해서는 데이터 주권, 보안, 클라우드 기술력과 같은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국내 기업들 중 혁신과 성장을 위해 현재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은 효과적인 전략으로 올바른 환경을 조성하고, 아직 클라우드 여정에 합류하지 못한 기업들은 최대한 강력하게 시작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스마트'로의 전환을 시도해야 한다. 이것이 오늘날의 멀티클라우드 운영 현실에서 성공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폴 사이모스(Paul Simos) VMware 동남아시아 및 한국담당 부사장은 "클라우드 전략은 디지털 이노베이션을 추구하는 공격적인 전략과, 비용 최적화와 같은 방어적인 전략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며,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복잡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클라우드 카오스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이런 클라우드 카오스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마트 상태로의 여정을 이끄는 것이 바로 VMware의 역할이며, VMware는 이를 위해 '크로스 클라우드 서비스(Cross-Cloud Service)'를 중심으로 NSX(프로젝트 노스스타), vShpere 8, vSAN 8, 아리아(Aria)와 같은 솔루션으로 조직들이 클라우드 스마트 전략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폴 사이모스 부사장은 "클라우드 스마트를 구현한다는 것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크로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반으로 클라우드 스마트를 구현하면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게 배포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을 가속화하고, 직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비용을 절감하고 하이브리드 인프라스트럭처를 현대화하며, 제로트러스트를 구현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VMware은 이처럼 공격적인 전략과 방어적인 전략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도울 수 있다"고 VMware의 장점을 설명했다.

한편, 이번에 ‘VM웨어 익스플로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처음 국내에서 개최던 이번 행상에는 3000명이 사전등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돼 최신 멀티클라우드 동향을 확인하고 교류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행사에는 델 테크놀로지스, 인텔, 메가존 클라우드,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AWS, 데이터솔루션, 이테크시스템, 굿모닝아이텍, HPE, 레노버, 콤택시스템, 에스컴 등 파트너들이 발표 세션과 전시 행사에 함께했다.

전인호 지사장은 "VMware가 올해로 창립 25주년을 맞이했다. 창립 당시부터 25년이 지난 지금까지 VMware는 가상화라는 하나의 기술에 집중해 왔다"며, "그리고 VMware는 그때나 지금이나 인프라에만 집중하고 있다. 고객은 가상화된 인프라에는 신경쓸 필요없이 애플리케이션에만 관심을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혁신을 지속해 나갈 것이며, 3만 여곳에 이르는 파트너들과 함께 노력을 기울여, 고객들이 애플리케이션만 관심을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파트너의 역할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