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생성AI에 대해 여러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AI와 대화형 챗봇 생성AI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기업들도 생각보다 빠르게 비즈니스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는 생성AI의 활용법에 고민이 많다. 이에 세계적인 빅테크 기업들은 생성AI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혁신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기 위해 생성AI의 역량을 강화 시키고 있다.
AI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인 AWS는 머신 러닝 모델을 개발, 훈련 및 배포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세이지메이커(Amazon SageMaker), 이미지와 비디오에서 사람, 장소 및 사물을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는 아마존 레코그니션(Amazon Rekognition), 챗봇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아마존 렉스(Amazon Lex),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아마존 폴리(Amazon Polly), 오디오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아마존 트랜스크라이브(Amazon Transcribe) 등 다양한 AI 서비스로 기업들이 AI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최근 생성AI 붐으로 AWS도 기술과 서비스 역량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8일 AWS는 ‘비즈니스 리더들의 생성AI 활용’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AWS가 추구하고 있는 생성AI 전략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루크 앤더슨(Luke Anderson) AWS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AI/ML 매니징 디렉터가 참석해 생성AI에 대한 분석과 AWS가 고객을 위한 생성AI 접근법, 생성AI가 다양한 산업에 가져올 변화, 국내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법 및 책임감 있는 생성AI 사용의 중요성과 AI 산업 고객의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생성AI의 비즈니스 이점 4가지
루크는 최근 생성AI의 역동적인 발전은 데이터의 대량 증식, 확장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 머신러닝의 혁신에 의한 것이며, 특히 인재들의 머신러닝 관련 기술이 향상되면서 데이터 과학 관련 역량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생성AI의 비즈니스 이점에 대해서는 ▲채팅이나 가상비서, AI 기반 고객센터와 개인화 등을 통한 고객경험 강화, ▲검색, 요약 에이전트 지원과 코딩 등으로 직원 생산성 향상, ▲글쓰기, 미디어 디자인, 모델링을 통한 창의성, ▲문서처리, 데이터 증강을 통한 비즈니스 효율성과 운영의 개선이라고 강조했다.
생성AI의 산업별 활용에 대해 루크는 “전세계 다양한 산업에서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규모를 가리지 않고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 산업에서는 생성AI 기반 챗봇으로 정적분석이 가능하고, 금융에서는 리스 기반의 모델 강화와 고객 이탈 분석, 고객 아이디 검증 등을 빠르게 수행하고 투자자들과 분석가들에게는 방대한 양의 문서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 고객들은 이제 생성AI의 수혜자이자 활용자들이 된 셈이다.
AWS는 오랜 기간 AI를 연구하고 이를 활용해왔기에 AI 기술이 핵심 DNA에 녹아 있으며, AI와 머신러닝의 대중화를 미션으로 삼고 있으며 현재 10만 이상의 고객사가 AWS 머신러닝을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루크는 실제 활용 예에 대해서 “LG AI 리서치에서는 엑사원을 기반으로 하는 AI 아티스트 틸다를 활용해 모델 훈련과 속도와 성능을 59% 향상시켰다. 글로벌 은행 BBVA는 클라우드에서 고급 애널리틱스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에 활용하고 있다.”고 한다.
비즈니스에서 효과적으로 생성AI를 활용하려면
AWS 한국의 생성AI 활용에 거는 기대가 커보인다. AWS는 대기업 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도 주목하고 있다. 8일 새한창업투자와 KB 인베스트먼트와 협업을 통한 6주간의 생성AI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스타트업 지원 의지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최대 미화 20만 달러의 AWS 크레딧 제공과 영향력 있는 AI 모델과 도구, 업계 전문가의 비즈니스 및 기술 멘토링, 엄선된 리소스를 제공한다. 또한 AI 및 ML 스타트업 창업자 커뮤니티의 동료 지원과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점프스타트와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프로덕션 준비가 완료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AWS의 생성AI 전략은 크게 4가지로 ▲발전을 위해 가장 쉬운 AI 기반 모델 구축, ▲최고의 성능, ▲센터형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축 ▲유연성과 다양한 선택 등이다. 이 4가지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 오픈서치 서버리스(OpenSearch Serverless), 엔비디아 인프라, AWS 트래니엄(Trainium), AWS Inferentia2, 아마존 코드위스퍼(Amazon CodeWhisper), AWS 헬스스크라이브( HealthScribe) 와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을 통한 기반 모델이 제공되고 있다.
루크는 한국의 고객들이 생성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우선 데이터에 투자해 데이터 기반을 제대로 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사람에 투자하해 생성AI 관련 툴과 기법을교육하고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국에는 20만명이 되는 인력이 존재하고 이를 위해 AWS는 한국에 7종의 무료 및 저가 서비스 및 인증 과정을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실제 활용할 수 있는지 실험해 보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메가존클라우드, 사내 5번째 AWS 앰배서더 배출
- 프롬프트 기반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시큐리티지니’...보안성·규정준수↑
- AWS, 실제적인 생성AI 활용 돕는 7개 온디맨드 교육 과정 공개
- 메가존클라우드, 연세의료원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의료·헬스케어 분야 DX 사업 본격화
- 서비스형 빅데이터 BDaaS, 연평균 36.9% 폭풍 성장
- IT·보안 팀의 골칫거리 SaaS 관리·보안 강화하는 'AWS 앱패브릭'
- AWS, 국내 생성AI 스타트업 활성화 적극 지원 나서
- AI 활용성 높은 6대 산업군
- "글로벌 기업 93%, 내년 AI 투자 늘린다"
- 챗GPT-4, 금융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예고
- 다목적 실시간 AI 비디오 생성 SDK, “모든 얼굴 이미지와 대화한다!”
- “관리형 IT 서비스, 기술투자 극대화해 비즈니스 성공 기반”
-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에 초점 맞춘 AI & BigData 기술·전략 공개
- 엔씨소프트, AWS 기반 한국어 LLM 개발… 국내 생성AI 대중화 나선다
- AI와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미래 비즈니스 기술·전략 전격 공개!
- 기업이 주목해야 할 비즈니스 성과 올리는 생성AI
- 전세계 비즈니스 리더 94%가 ‘기술 불안증’
- 기술에서 솔루션과 비즈니스로 거듭나는 AI 핵심 솔루션 AtoZ ①
- 실제 비즈니스 환경 위한 AI 전략과 솔루션에 대한 해답 제시
- 아마존, 'AI 레디'로 2025년까지 200만 명 AI 전문가 양성
- 업무의 미래 재편하는 생성AI 기반 어시스턴트 'AWS 아마존 Q'
- AWS, 아마존 베드록 모델 선택권 확대 등 다양한 신규 기능 발표
- 기업 내부 데이터를 활용한 생성 AI 기반 서비스 구축하기
- “AI 보다 인간적인 관계유지가 고객경험 향상시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