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즈(Zoom Video Communications, 이하 줌)의 생성AI 어시스턴트 ‘줌 AI 컴패니언(Zoom AI Companion)’이 출시 약 두 달 만에 사용자수 12만 5000 명, 줌 미팅 요약 기능 사용 건수 100만 건 이상을 돌파했다고 그간의 성과를 공개했다. 줌은 추가 언어 확대 지원 등의 AI 컴패니언 기능 추가 업데이트도 발표했다.
줌 AI 컴패니언 사용자는 추가로 지원되는 어어로 미팅 중 문의를 남길 수 있으며, 회의 요약 전문 앞에 개요를 받아볼 수 있다.
특히 미팅 중 질문 기능에 7개 언어(스페인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이탈리아어)에 대한 미리보기를 지원하며, 사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해, 이메일 요약 상단에 개요를 추가했다.

사용자는 전체 미팅 요약과 함께 미팅 요약 개요(Meeting Summary Overview)를 받아볼 수 있으며, 미팅 요약 개요는 11월부터 연속 미팅 챗(Continous Meeting Chat)에 제공된다.

줌은 11월, 추가적인 AI 컴패니언 업데이트를 통해 AI 컴패니언을 지속해서 향상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곧 추가될 기능으로는 AI 컴패니언 미팅 요약과 미팅 중 질문 기능에 한국어 포함 총 32개의 새로운 언어를 미리 보기로 지원하면서 언어 서비스의 지원을 확대한다.
또한 스마트 녹화에서 음성 분석을 시작으로 사용자에게 미팅 코치 기능 제공한다. 이 기능으로 미팅 호스트의 말하기/듣기 비율, 말하기 속도, 스피치 필러(Speech Fillers)를 포함해 호스트에게 줌 미팅 중 미팅 참가자와의 소통 방식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줌 이벤트(Zoom Events)에 AI 컴패니언 기능을 확대 지원해 줌 이벤트 로비에서 AI 컴패니언의 채팅 작성 기능을 사용하거나 등록, 마케팅, 티켓팅 관련 소통시 줌 AI 컴패니언의 이메일 작성 기능 활용할 수 있으며, 옵션 컨트롤(Option Control) 기능을 도입해, 고객이 조직의 AI 컴패니언 기능에 줌의 거대 언어모델만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스미타 하심(Smita Hashim) 줌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플랫폼 전반에 걸쳐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줌 비전의 핵심이다. 줌이 추가 비용 없이[1] AI 컴패니언을 제공하는 이유”라며 “더 많은 고객이 줌의 AI 혁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빠르게 새로운 AI 기능을 도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줌은 AI에 대한 고유의 연합접근법을 통해 여러 모델을 동적으로 활용하면서 AI 간접 비용을 줄여 생성형 AI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생산성·효율성 높이는 스마트워크 전략 공개...‘NSWS 2023’ 컨퍼런스 개최
- 서비스형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장, 2031년 1188억 달러 전망
- "AI 기반 통합 커뮤니케이션으로 소통·협업 개념 재정립할 것"
- 협업 솔루션에 생성AI 기능 강화한 '줌 AI 컴패니언'
- 원광보건대-줌, 하이브리드 교육 환경 구축한다
- 일정 조율 간소화·줌캘린더 연동한 '줌 스케줄러' 상용화
- 생성AI로 협업 효율성 향상 추구하는 '줌 IQ'
- 생성AI로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 혁신하는 ‘줌 AI 컴패니언’
- 숏폼 영상 메시지로 비동기식 소통 강화하는 '줌 클립스'
- 직원과 고객의 참여 유도하는 설문조사 기능 '줌 서베이'
- 줌, 고객 경험 강화위한 줌 컨택센터 요금제 개편
- 줌, 2023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UCaaS 부문 리더 선정
- 줌, 김채곤 한국 지사장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