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는 n5G 스탠드얼론과 신규 코어의 수요가 증가하고, 프라이빗 5G와 오픈 RAN, 가상 RAN, 5G 어드밴스드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테스트 및 보증 솔루션 공급기업인 스파이런트 커뮤니케이션(Spirent Communications)은 ‘5G 2024: 마켓 드라이버, 인사이트 및 고려 사항(5G 2024: Market Drivers, Insights & Considerations)’ 보고서에서 이처럼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2023년에 500개 이상의 새로운 글로벌 5G 프로젝트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정리한 다섯 번째 연례 5G 전망 보고서다.

보고서는 5G 스탠드얼론(단독모드, SA)과 신규 코어(new Core)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5G 단독모드는 51개의 상용 구축이 이루어지고 수용 가능한 사용자가 제한된 초기 단계의 시장이다. 그러나 서비스 제공업체가 통제된 성장 배포를 준비하고 기기의 가용성이 임계 치에 도달함에 따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2023년의 느린 상용 구축 모멘텀에도 불구하고, 스파이런트의 랜드슬라이드(Landslide) 5G 코어 테스트 솔루션이 30개 이상의 통신 업체에게 선택됐다는 것은 2024년 상용 5G SA가 가속화될 것을 짐작케 한다. 5G 코어의 차별화된 기능을 테스트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전력 소비 최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요 통신업체들은 새로운 수익 창출 서비스와 에너지 효율화에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예상된다.
5G SA로의 전환은 특히 네트워크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자동화와 관련된 네트워크 및 OSS(오픈소스소프트웨어) 기반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의 주요 비즈니스 동력이 되고 있다. 전 세계적인 계약 사례를 살펴보면 선진 서비스 제공업체의 20%가 데브옵스(DevOps)와 지속적인 테스트(CT) 등 애자일 방식(agile practices)을 구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업자가 새로운 소비자 및 기업 전용 네트워크 서비스를 출시함에 따라 몰입형 음성 및 비디오와 관련된 테스트 참여가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사업자들이 4~5배의 트래픽 증가에 대처하고 5G SA를 준비하기 위해, IP 코어 백본의 200/400G 이더넷 교체를 시작했고, 5G RAN 구축은 10/25G 에지 라우터를 위한 셀 사이트(cell sites) 게이트웨이를 업그레이드하고, 애그리게이션 사이트에서 100G로 전환했다. 오픈 RAN 및 가상 RAN(Open RAN & Virtual RAN)의 공급 측 에코시스템은 50개 이상의 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요 측 지원에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30개 이상의 서비스 제공업체가 포함돼 있다.
업계가 기기에 직접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성능과 기술 및 규제 준수 과제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저궤도 위성(LEO)을 통한 5G연결 테스트가 증가했다.
지난 몇 년 동안 1200개 이상의 특화망 LTE/5G(Private 5G)가 상업적으로 구축됐으며, 보류중인 SA구축, 라이프사이클 자동화 및 보안 중심 네트워크 슬라이스로 인해 2027년까지 4만 건 이상의 출시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에는 5G 축소 기능(RedCap)을 포함한 5G 상용화를 위한 기술 3차 표준인 릴리즈17(Release17) 기능에 관심이 높아졌으며, 초기 상업용 특화망 구현은 특정 목표 사용 사례와 간소화된 NIB(네트워크 인 어 박스) 배포 모델에 맞추면 빠르면 6개월만에 투자 수익(ROI)을 달성했다.
5G 어드밴스드(5G Advanced) - 5G SA 업그레이드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마침내 진정한 5G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직접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뒤를 이어 3GPP에서 정의한 릴리즈 18과 19에서 정의한 5G 어드밴스드(5G Advanced)는 몰입형 XR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더 광범위한 산업 사용 사례를 목표로 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AI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파이런트의 스티브 더글라스(Steve Douglas) 시장 전략 책임자는 “지난해에는 새로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5G 핵심 기술을 배포하고 통합하는 데 따르는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5G 스탠드얼론(SA, 단독모드) 네트워크 구축이 지연됐다.”고 설명하며, “그러나 올해는 처음으로 새로운 5G SA 기능에 대한 수요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비 및 기기의 공급이 마침내 균형을 맞추게 되었다. 공급업체들은 5G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차세대 5G SA 기능에 대한 수요와 5G 고도화로 가는 여정에 힘을 싣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쓰임새 많은 5G mmWave 사설 네트워크, 기업 맞춤형으로 구현
- ‘인더스트리 4.0’, 5G·IoT·AI·ML 신기술 통합해 스마트한 성장세
- 멀티 액세스 에지 컴퓨팅과 프라이빗 5G 아키텍처에 가상화 솔루션 통합
- 5G 네트워크 공격 막는 엔터프라이즈급 방어 솔루션
- 5G IoT 시장, 기하급수적 성장 ‘2028년 954억 달러’ 전망
- [기고] AI를 활용한 에지 구축 전략
- 프라이빗 5G 네트워크와 에지 사이트 구축∙관리 간소화 솔루션
- 2026년 ‘기업의 80%가 디지털 인프라 구독 기반 서비스 활용’
- ETRI, 5G/6G 데이터 폭증 해결할 광원 소자 개발
- [2024 전망] 조직의 50%가 Wi-Fi 7 도입
- 한국 바이너리 코드 분석 솔루션, 글로벌 진출
- 큐브리드, 국방기술품질원에 오픈소스 DBMS 공급
- [MWC 2024] 화웨이, 지능형 디지털 솔루션 공개
- ‘데브옵스’ 소프트웨어 자동화∙클라우드 도입 증가로 ‘일취월장’
- 단일 네트워크에서 ‘2G∙4G∙5G’ 모두 제공하는 RAN 솔루션
- KDDI, 레드햇 솔루션으로 5G 서비스 개방형 플랫폼 구축
- 이더넷 기반 AI 워크로드 테스트 솔루션 ‘AI 요구사항과 복잡성 해결’
- 기업 최우선 과제 ‘AI 통합∙디지털 전환∙사이버 보안∙연결성’
- 메이사, 국토부 수주지원단 일원으로 UAE 방문
- CJ올리브네트웍스-퀄컴, 이음5G 비즈니스 협력
- 아이스아이, 25cm 영상 촬영 가능한 레이다 위성 발사 ‘성공’
- 메시지만 입력하면 비디오가 ‘뚝딱’
- 해상교통서비스 지원하는 동영상 솔루션
- 에스앤아이, 스케일드애자일 도입 ‘고객 중심 공간 솔루션’ 구현
- 인세라솔루션, 우주광통신 기술 개발 3억 원 투자 유치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수많은 과학자들의 땀으로 빛나는 별 ‘인공위성’
-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보안 우선주의’
- 이더넷 성능 검증 솔루션 ‘스파이런트 B3 800G 어플라이언스’
- 더 빠르고 강화되는 5G, 보안 솔루션 투자도 가속화
- 가성비 높은 중소기업용 보안 게이트웨이
- 스파이런트, AI 테스트 솔루션 '인터롭 도쿄 2024'에서 대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