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양병내 통상차관보가 지난 3일부터 오는 5일까지 인도네시아(이하 ‘인니’) 자카르타를 방문해 고위급 회담, 현지 진출기업 간담회 등을 진행한다.
이번 방문으로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전기차 및 배터리,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뿌리기술 인력양성 등 지난 9월 한-인니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협력 의제들을 본격 이행하는 한편, 유‧가스전 탄소포집저장(CCS), 원전 등 탄소중립과 미래 산업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병내 차관보는 먼저 지스만 파라다 후타줄루(Jisman P. Hutajulu) 에너지광물자원부 총국장과의 면담에서 전기차, 핵심광물 공급망 및 청정에너지 협력을 확대키로 했다. 양측은 ‘한-인니 e-모빌리티 협력센터’를 올해 상반기에 가동하고 전기차‧배터리 생태계 조성에 협력한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해 우리 기업의 광산, 정‧제련소 투자 등 안정적인 배터리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안디 리잘디(Andi Rizaldi) 산업부 산업연구개발원장을 만나 산업인력 양성, 수입규제 등 현지 진출 우리 기업 애로 해소방안을 협의하고, 크라카타우-포스코-반뜬 폴리텍대학-뿌리산업진흥센터 간 ‘뿌리기술 인력양성 협력 MOU’도 체결했다.
인니의 수입물량 제한 등에 따른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을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인니 측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현지 진출 기업 10여 개사가 참여한 지상사 간담회를 개최해 현장 애로를 청취하며, 기업인들의 현장 목소리를 ‘한-인니 경제협력위’ 등 양국 정부 간 경제협력 채널 의제 등에 반영해 우리 기업이 수출과 투자 활동에 걸림돌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관련기사
- 글로벌 반도체 경쟁, 어떻게 대응할까?
- 그리너지, 미국∙영국에 배터리 공급 호조
- 산업부, 차세대 첨단로봇 기술에 523억 원 투자, 작년 대비 4배 증액
- 인도네시아 방송사 MNC, 인프라 문제 해결사 ‘와탭’ 도입
- 2024년에 변화될 전기자동차 EV 충전 동향
- 모니터랩-델타데이터 만디리, 인도네시아 시장 공략 협력
- 센스톤, 인도네시아 조폐공사와 보안·인증 기술 상호 협력 재확인
- 틸론, 아시아 지역 대상 ‘제로클라이언트 어플라이언스’ 선봬
-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정부 지원으로 거침없는 성장
- KEVIT-5개사, EV 충전 인프라 협약 체결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오토실리콘,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 진단 전용 칩 출시
- AI 학습으로 ‘전문성’ 개선, MTPE 작업으로 ‘번역 품질’ 향상
- 복잡한 공장 인허가, 디지털 트윈 활용 ‘클릭 한 번으로 해결’
- 유통산업 미래 위해 기업‧전문가‧정부 한 곳에
- 옵스나우-윈클, 탄소 중립 솔루션 사업 공동 추진
-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활성화, 민·관 맞손
- 솔트웨어-한국폴리텍, IT 인재 양성 협력
- 산업부, '2024 글로벌 넷제로 커넥션' 개최
- 아이티브AI, 영상으로 ‘고온 슬래그 포트’ 무게 측정 시스템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