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EV)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가 발표한 ‘글로벌 전기 자동차 (EV) 충전소 시장 2024-2028’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장은 규모는 2023년부터 연평균 성장 30.75% 로 2028년 804억 6천만 달러 규모로 이를 전망이다.

EV 충전소 설치를 지원하는 정부 계획에서 세금 인센티브를 통한 EV 판매 증가는 잘 구축된 인프라에 대한 수요와 EV 생산 증가를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성장 요인
충전소 설치를 지원하는 정부 이니셔티브의 증가는 시장 성장을 이끄는 핵심 요소이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EV에 대한 수요가 높다. 환경 친화적인 교통 시스템을 채택하기 위해 여러 국가의 정부가 착수한 이니셔티브로 인해 EV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각국 정부에서는 인프라 설치에 대한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EV) 충전소 시장은 전기 자동차를 홍보하는 정부 인센티브에 힘입어 제조 활동이 증가하면서 주도되고 있다. 충전소 및 공공 충전소에 대한 수요 증가는 전기 자동차 충전소 시장 발전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재생 가능 에너지를 통해 EV 충전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시장 성장을 형성하는 주요 추세이다. 전력망의 전력 수요를 줄이기 위해 충전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수년 동안 논의되어 왔다. 태양광 패널로 구동되는 충전소는 업계의 이러한 추세 중 하나이다. 태양광 패널의 가격 하락과 비즈니스 건물 및 쇼핑몰에 대한 설치 용이성이 시장에서 이러한 추세를 주도하고 있다.

주요 과제
표준화된 충전 네트워크 와 적절한 전력의 부족은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이다. 다양한 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적절한 전력 인프라가 부족하여 인프라 성장을 방해한다.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전기 장비 인프라와 발전소가 부족하여 여전히 모든 시민에게 전기를 공급할 수 없다. 전기에 대한 접근 부족은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시장을 방해하는 주요 과제이다.
더욱이 EV용 범용 또는 표준화된 충전 네트워크가 부족하다는 점은 인프라 도입 시 직면하는 병목 현상 중 하나이다. 국가와 시장은 인프라에 대한 표준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인프라 표준의 일관성 부족은 특히 이들 국가에서 EV를 수입하는 국가의 인프라 채택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이는 예측 기간 동안 시장 성장에 영향을 끼친다.
시장 현황
고속 충전기 부문은 이 시장의 가장 큰 부문이었으며 2018년 가치는 131억 8천만 달러로 평가되었다. 고속충전기는 전기차 배터리를 20분 이내에 100% 충전할 수 있는 신기술이다. 표준화된 주유소의 편의성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 소유자들의 주행거리 불안으로 많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제조사들이 고속 충전 인프라 제공에 주력하고 있어 이들 충전기 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EV 충전 인프라 시장은 예측 기간 동안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아태지역은 예측 기간 동안 글로벌 시장 성장에 63%를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테크나비오 분석가들은 예측 기간 동안 시장을 형성하는 지역 동향과 동인을 자세히 설명했다. 아태지역 시장은 중국, 일본, 한국 등 국가의 EV 수요가 높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등 국가들은 보조금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전기차 보급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앞장서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계획은 전기차에 대한 엄청난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더욱이 EV 분야의 주요 시장 참여자와 기업은 개선된 인프라 설치에 투자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또한 이 지역의 고급 인프라에 대한 수요 증가를 활용하기 위해 M&A 및 전략적 제휴에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예측 기간 동안 APAC 지역의 전기 자동차(EV) 충전 인프라 시장의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기업들은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전략적 제휴, 파트너십, 인수합병, 지리적 확장, 제품/서비스 출시 등 다양한 전략을 구현하고 있다. 이 시장의 주요 기업들은 ABB, 에이로바이런트(AeroVironment), 알펜(Alfen) NV, BYD, 차니포인트 홀딩스(ChargePoint Holdings), 이튼(Eaton), GE, 인피니온 테크놀로지(Infineon Technologies), LS 파워 디벨롭먼트(Power Development), PG and E, 피홍(Phihong) USA, 폴라리움 에너지 솔루션 AB(Polarium Energy Solutions AB),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SE), 쉘(Shell), 선전(Shenzhen) ATESS 파워, 지멘스(Siemens), 테슬라, 더 모빌리티 하우스(The Mobility House), 토탈에너지(TotalEnergies), 웨바스토(Webasto) 등이 있다.
관련기사
- KEVIT-5개사, EV 충전 인프라 협약 체결
- 빠른 충전과 경제적인 레벨 2 전기차 충전 케이블
- [CES 2024] 케이블 필요 없는 전기차 충전소
- 양방향 충전 방식의 전기차 고속 충전 플랫폼
-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꿈꾸는 '미래의 스마트홈-커넥티드 카 라이프스타일'
- 안정성·안전성·비용효율 높은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
- 작고 가벼운 고용량·다기능 태양광 휴대용 EV 충전기
- 소비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자동차 기술
- 2024년에 변화될 전기자동차 EV 충전 동향
- 자율주행 가능한 AI 전기 스쿠터, “라이딩의 신세계 연다”
- 견고한 성장세 '배터리' 2032년 2763억 달러 돌파
- [CES 2024] 전기 자동차 전력 판도 바꿀 차세대 침수 냉각 고밀도 배터리
- [CES 2024] 배터리 없는 전자장치의 미래
- [CES 2024]삼성전자-테슬라, 스마트싱스 에너지 협업
- 서울테크노파크-KATRI, 기업 성장 가속화 맞손
- 그리너지, 미국∙영국에 배터리 공급 호조
- 전기 자동차 주행거리 향상시키는 마이크로파 에너지
- [Success Story] 레이저스포츠, 헬멧 충격 보호 기술 개발에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활용
- 에너지 비용 절약되는 '올인원 태양광 에너지 솔루션'
- 한-인니, 미래 신산업 협력 본격화
- 성능 저하 없이 EV 충전 시간∙비용 절감해주는 지능형 배터리 교환 시스템
- 지투파워, 태양광발전소 상업 운전 돌입
- [한선화의 소소(昭疏)한 과학]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화하는 미래형 ‘전기차’
- 연중무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플랫폼
- 제조공정 간편화·비용절감하는 고성능 서보 모터와 드라이브
- KEVIT, DR 충전 솔루션 및 전기차 충전기 공개
- 전기 에너지 비용 줄이는 전기자동차 효율 개선 전략
-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친환경 모빌리티 서버·배터리 특허 취득
- 이모터스, 차세대 e-드라이브 테스트에 ‘지멘스 심센터’ 활용
- AI 기반 온라인 M&A 마켓플레이스 ‘리스팅’...300억 원 이하 소규모 특화
- 피엠그로우, 국내 대학과 전기차 배터리 데이터 활용 산학협력 프로젝트 추진
- 전기차 충전, 차량 기반 인증 기술로 더 편하고 안전하게!
- IoT 접목한 슈나이더 일렉트릭 ‘디지털 보호계전기’...안전하고 스마트해져
- 슈나이더 일렉트릭 '파워로직 P7', 사이버 보안 패키지로 운영 보안성 향상
- 9.8분 만에 80% 충전, 10분 충전에 600Km 주행 가능 전기차 배터리
- 에너지 저장 장치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27%’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