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증권 서비스 플랫폼이 강력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솔루션기업과 의기투합해 투자 안정성을 극대화해 투자 의지를 고취시키고 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적극 나서고 있다.

토큰 증권(Security Token Offering, 이하 STO) 은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토큰과 연동하여 소유권을 나타내는 디지털 자산을 말한다. 기존 증권을 디지털화하여 발행 및 거래하는 방식으로, 투자자들은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어 최근 주목받고 있다.

특히 글로벌에서는 투자 접근성 향상, 거래 비용 감소, 유동성 향상, 효율적인 자산 관리,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 정부 및 기관의 관심 증가 등으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TO는 금융 시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과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2030년에는 국내 STO 시장 규모가 367조원까지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여기에 작년 말 금융위원회가 한국거래소에 토큰증권발행 시장 개설을 위한 혁신 금융서비스(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신규 지정하면서 STO 시장 개화 기대감이 더욱 빨라질 것이란 분석이다.

통합 IT보안 전문기업 SGA솔루션즈(대표 최영철)와 토큰 증권 발행 및 거래 서비스를 운영하는 펀블(대표 조찬식)이 13일 서울 여의도에서 '펀블 토큰증권(STO) 사업 전략 간담회'를 개최했다.

SGA솔루션즈와 펀블의 STO  사업전략 간담회
SGA솔루션즈와 펀블의 STO  사업전략 간담회

이 행사에서 SGA솔루션즈와 펀블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토큰증권 시장 공략전략과 올인원 STO 플랫폼 ‘스플릿(SPLIT)’ 소개 및 신규 상품 출시 계획, 다양한 실물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한 토큰증권 사업 및 글로벌 RWA(Real World Asset, 실물자산의 온체인 토큰화)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고도의 블록체인 기술과 STO 전문성의 융합

전통보안 기업인 SGA솔루션즈와 디지털자산 플랫폼 기업 펀블의 조합에 의문이 들지 모르지만 이 두 기업은 너무도 잘 맞는 파트너 조합이다.

SGA솔루션즈는 그간 한국전력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과 고도화, 환경부의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거래 관리 서비스, 산업통산자원부, 부산광역시 등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다양한 블록체인 관련 사업 실증 기술을 개발해 왔다.

펀블은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자로 지정 받아 SK증권과 함께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인 ‘펀블’을 운영하며, 전자증권법을 적용해 토큰증권의 발행 및 유통, 청산까지 모든 사이클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기업이다.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승인받은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토큰 증권 플랫폼을 통해 상업용 부동산을 디지털 자산 증권(DAS‧Digital Asset Securities) 형태로 주식처럼 쉽게 사고 팔며 수익과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펀블은 ‘롯데월드타워 시그니엘 1호’를 토큰증권으로 발행하고 플랫폼을 통한 유통 및 청산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해 대표적인 STO 선도 기업으로 입지를 다졌다.

SGA솔루션즈의 최영철 대표는 “SGA솔루션즈가 보유한 전 방위적인 블록체인 원천 기술과 펀블의 STO 전문성, 투자금융 전문성, 전 방위적인 STO 협의체 구성 요소 등이 융합돼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막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게 됐다.”고 했다.

SGA솔루션즈는 지난 1월 전략적 투자를 통해 STO 전문성을 보유한 펀블의 최대주주가 됐다. SGA솔루션즈의 고도화된 블록체인 기술력과 차세대 보안 솔루션을 펀블의 STO 전문성과 결합해 국내 STO 시장은 물론 글로벌 RWA 시장 진출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엔드투엔드 토큰증권 서비스 올인원 STO 플랫폼 ‘스플릿’

이번 간담회에서 발표된 올인원(All In One) STO 플랫폼 ‘스플릿(SPLIT)’은 토큰증권의 기초자산 발굴부터 자산의 가치 평가, 토큰증권의 금융 구조화,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FINANCIAL MODELING 및 수익률 산출 등을 자동화하고, 신탁 수익증권과 투자계약증권의 증권신고서 작성까지 자동화하여 토큰증권의 발행 및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누구든지 낮은 비용으로 손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토큰증권 사업 원하는 기업들은 펀블의 ‘스플릿 플랫폼’을 활용해 ▲토큰증권 발행 검토 및 심사 ▲토큰증권 발행 ▲토큰증권 거래 ▲토큰증권 관리 서비스 등 토큰증권 사업을 위한 모든 서비스를 분야 별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최대표는 또한 “이번에 출시하는 올인원 STO 플랫폼 ‘스플릿과 더불어 ▲SGA솔루션즈의 블록체인 솔루션 ‘RootChain(루트체인)’을 적용한 글로벌 RWA 플랫폼 출시 ▲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인증 및 보안 고도화를 통한 스마트 컨트랙트 범용성 고도화 ▲ 클라우드, AI 등 차세대 정보 보안 기술을 적용한 안정적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운영 등을 통해 펀블과 함께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을 빠르게 선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동산 초작투자 상품 ‘손익차등형’ 투자 다음 달 출시

한편, 펀블은 다음 달 출시를 목표로 진행 중인 신규 부동산 조각투자 상품도 설명했다. 서울 서초구에 있는 꼬마 빌딩 전체를 토큰화 한다는 계획으로 '손익차등형' 구조가 핵심이다.

최근 공모펀드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손익차등형’ 구조는 일정 손실까지 후순위 투자자가 먼저 떠안는 상품이다. 수익증권을 선순위와 후순위로 분리하여 발행하고, 펀블의 투자자들이 선순위 투자자로서 투자자산에서 나오는 배당수익과 투자원금을 후순위 투자자보다 먼저 받게 설계돼 있어 투자의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

후순위 투자는 기존 자산을 소유한 건물주가 후순위 투자자로 참여하여 자산의 가치 하락 위험을 먼저 떠안는 대신, 건물 재 매각 시 매각차익이 발생할 경우 펀블 투자자와 배분비율에 따라 나눠 가진다.

펀블의 조찬식 대표는 "후순위 투자가 약 13%의 비중을 차지, 건물 가격이 13%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펀블 투자자들은 손실을 보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배당 수익도 선순위 투자자만 월세 배당을 받게 돼 있어 매월 양호한 임대 배당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라며 “투자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손익차등형 구조의 토큰증권에 분산투자를 원하는 시중 유동자금이 크게 몰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소상공인과 함께하는 공동 창업투자 모델 투자계약증권도 추진

소상공인들은 국내 창업자금 생태계가 발달되지 못해 초기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창구가 너무 제한적이고, 어렵게 자금을 조달한다 해도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도 너무 높아 힘들다며 소상공인 진흥 정책 마련을 꾸준히 요구해 왔다. 또한, 팬데믹으로 누적된 소상공인 부채는 고금리·고물가로 인해 금융 부실까지 이어질 수 있어 구조적인 체질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

펀블은 소상공인들과 협업을 통한 신종 조각투자 상품 출시 계획도 밝혔다. 펀블은 토큰증권을 활용, 일반 투자자들의 참여도를 높여 창업 투자시장을 획기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성공적인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대표는 “토큰증권을 통해 담보와 신용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상생 모델을 활성화시킨다면, 창업 환경에 큰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은 은퇴 세대도 많고, MZ세대 역시 창업에 대한 열망이 크다. 새롭게 열리는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활용,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며, “지금까지 부동산 STO를 통해 쌓아온 STO 전문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다양한 실물자산(RWA·Real World Asset)들을 토큰화해 나갈 계획이다. 펀블의 STO 전문성과 SGA솔루션즈의 고도화된 블록체인 기술력과 차세대 보안 솔루션을 결합하여, 국내 STO 시장은 물론 글로벌 RWA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알림] GTT KOREA와 전자신문인터넷이 오는 3월 21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Data Insight & Security Summit(DISS) 2024’에서는 “AI 트랜스포메이션, 데이터 이노베이션”을 주제로 데이터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리더들이 AI 기반 데이터 활용과 전략 수립에 난항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와 인사이트, 강력한 데이터 보안 전략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지티티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