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GfK가 2023년 국내 가전 시장 성장률을 21일 발표했다.
GfK는 21일 코로나 기간 동안 큰 성장세를 보였던 국내 가전 시장이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2년 대비 2023년 성장률은 -12%(매출금액 기준)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대표 가전제품 38개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로, 주요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을 포함한 수치다.

하락 폭은 매출금액 기준보다 수량 기준이 더 컸다. 수량 기준 2022년 대비 2023년은 17%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인플레이션의 지속과 식음료를 중심으로 한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지출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가전 시장에서 소비자의 수요가 급속히 줄어들며 대부분 가전제품의 판매가 감소했다.
다만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는 하락세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상반기에 14% 하락을 기록한 시장은 하반기 -9%(2022년 대비 매출금액 기준)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락세는 둔화됐지만, 여전히 10%에 가까운 하락을 보여 시장의 빠른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고 있다.
국내 가전 시장이 2년 연속으로 하락하면서 온라인 채널(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종합몰, TV홈쇼핑)도 두 자릿수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2022년에만 해도 -3%의 성장률(2021년 대비 매출금액 기준)을 보였으나, 오프라인(가전전문점, 대형마트, 백화점) 대비 온라인 채널이 2023년 12% 하락했다. 오프라인 채널의 2023년 성장률도 -11%(2022년 대비 매출금액 기준)로 기록되었으며 2023년에는 제품 및 채널과 관계없이 가전 시장 전체로 퍼진 소비 위축이 확인됐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동반 하락하면서 가전 시장 내 온라인 채널 비중은 2023년 48.1%로, 2022년 대비 -0.3%를 기록했으며 온라인-오프라인 비중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혜원 GfK 유통서비스팀 연구원은 “2023년 하반기에 가전 시장의 하락 폭이 다소 완화되긴 했으나 2024년 1분기에도 식료품의 가격이 크게 뛰어오르며 가전 시장 소비자의 수요는 2024년에도 계속 위협받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모바일∙IoT 기기 위협 증가, ‘IoT 보안’ 성장 견인
- 쇼핑·교육·문화 아우르는 ‘삼성스토어’
- GfK 코리아, 2024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 모집
- IoT 센서 시장, 연평균 34% 성장해 2029년 701억 달러 전망
- AI와 통합으로 더 지능화된 AI 로봇, ‘매년 36.4% 급증세’
- 자율주행차∙정부의 투자 증가로 컴퓨터 비전 AI 시장 ‘성장가도’
- 더 강력한 인간을 만드는 기술 ‘인간 증강’, 견고한 성장세
- 차세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국산화 성공
- AI 칩, 연평균 22% 성장해 2034년 3000억 달러 전망
- 올해 국가연구개발 예산, 3407억원 증액된 5조원 대
- 인텔, 파운드리 사업 재무 구조 개편∙수익성 확대 방안 발표
